학과소개
물리학과는 기초 물리학을 바탕으로 새로운 전자 재료, 반도체, 파인 세라믹 및 고성능 복합 재료와 같은 첨단 소재 개발과 관련된 분야와 기술을 연구하는 학과입니다. 새로운 물질 물리학을 공부하는 학생들은 과학적 창의력, 이해력, 공학 응용 및 실제 능력이 있어야합니다. 특히 전자 정보 통신 산업과 밀접한 관계가 있어 졸업생들은 다양한 분야로 진출 할 수 있습니다.
교육목표
고급물리이론 학습과 연구능력 함양을 통해 우수한 연구인력을 양성하는데 교육목표를 두고 있다. 특히 기초학문의 특성을 살려 창의적 능력의 개발에 중점을 둔다.
전공분야
가. 석사과정:핵및플라즈마물리 전공, 응집물질물리 전공
나. 박사과정:핵및플라즈마물리 전공, 응집물질물리 전공
졸업 후 진로
원자력, 방사선 (연구소, 지적 재산권 사무소), 비파괴 (산업, 병원), 물리학 및 공학 (R & D) 국가 및 공공 연구소 또는 산업 연구 기관, 제약 회사 및 생명 공학 기업, 중화학 및 석유 화학 산업, 분석 장비 제조 및 무역업, 고분자 화학 산업
취업현황
삼성 전자, LG 전자, 하이닉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원자력연구원, 대구경북과학원, 동남권원자력의학원 외 다수
교수현황
성명 | 직위 | 학위명 | 전공 |
정태훈 | 교 수 | Ph.D. | 플라즈마물리학 |
노태익 | 교 수 | 이학박사 | 핵물리학 |
박홍준 | 교 수 | Ph.D. | 응집물질물리학 |
이재열 | 교 수 | Ph.D. | 계산응집물질물리학 |
김 용 | 교 수 | 이학박사 | 반도체물리학 |
최보훈 | 교 수 | 공학박사 | 광학 |
서정화 | 부교수 | 이학박사 | 유기물반도체 |
학과내규
가. 입학에 관한 사항
(1) | 특별전형 정원범위내에서 학과교수회의에서 결정한다. |
(2) | 일반전형 | ||
(가) | 석사과정:전자기학, 고전역학을 전공구술고사로 실시한다. | ||
(나) | 박사과정:양자역학, 전자역학, 지원자의 전공 1과목을 전공구술고사로 실시한다. |
나. 학점이수에 관한 사항
(1) | 유사학과 인정 범위 수학, 화학, 전기 및 전자공학, 재료 및 금속공학 |
(2) | 교과목 인정 및 보충과목 지정 타 전공 출신의 석사 및 박사 과정 학생의 보충과목은 학과 교수 회의에서 결정한다. 단 출신 대학이나 대학원에서 이수한 과목 가운데 유사 과목이 있는 경우 학과 교수회의의 결정에 따라 이를 면제할 수 있다. |
다. 외국어 시험에 관한 사항
박사과정의 제2외국어 시험은 실시하지 않는다. |
라. 종합시험에 관한 사항
석·박사과정의 종합시험은 대학원 학칙으로 정한 외국어 시험에 합격한 자를 대상으로 실시하되 석사과정은 2과목, 박사과정은 3과목으로 정하여 필기시험에 의해 70/100 이상의 점수를 취득한 자에 한해 졸업논문 제출자격을 인정한다. |
마. 박사학위논문의 제출자격에 관한 사항
(1) | 논문제출요건:다음 요건을 갖춘 자는 학위논문을 제출할 수 있다. | |||||
(가) | 석사과정 | |||||
1) | 공통: 대학원 학위청구 논문에 관한 내규 | |||||
- - - - - - - |
수료에 필요한 교과학점 24학점(전 교과목의 평균 성적 80점) 이상
취득 지정받은 보충과목 이수학점을 모두 취득 4학기 이상의 정규등록을 필한 자 학위논문 연구계획서를 제출한 후, 1학기 이상 지도교수의 지도를 받은 자 외국어시험(영어) 및 종합시험(전공 2과목)에 합격한 자 수료 후 학위를 청구하고자 하는 학기 초에 1회에 한하여 연구등록금을 납부 예비심사 및 본심사 실시 최소 한 학기 전에 소속 학과에서 논문계획 발표 실시 |
|||||
(나) | 박사과정 | |||||
- | 박사학위논문 제출자격은 박사과정 입학이후에 주저자로 국내 학술지(전국규모학회 이상의 학술지)급 이상의 학술지에 2편 이상의 논문 게재를 원칙으로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