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이터톤 개요
○ (목 적) 에너지 효율화 및 탄소중립을 위한 AI모델 개발과
신사업을 제안하여 공공서비스 발굴
○ (접수기간) 2023. 8. 21. ~ 9. 22.(5주) ※ 발표평가 및 시상식: 11월 예정
○ (응모자격) 대한민국 국민으로 개인 또는 팀(최대 5명)
○ (분 야) ①정책, ②서비스, ③기술개발
○ (주 제) 구미산단 에너지자급자족 데이터를 활용한 Web 3.0
기술 기반의 기술/서비스 제안
○ (심 사) 예선(우수작 선정) → 결선 발표평가(순위 결정)
* 서면 평가 시, 내용 확인 등을 위해 온라인 인터뷰를 요청할 수 있음
** 예선 심사 시, 선정된 공모작에 대해 중복 수상 등 검증 진행
○ (시 상) 총 9점/상금 총 2,100만원
< 2023 구미산단 에너지자급자족 데이터톤 시상 계획 >
구분 | 상금 (각 분야별) | 수상자 (각 분야별) | 훈격 | ||
정책 | 서비스 | 기술개발 | |||
대상 | 400만원 | 1명(팀) | 한국산업단지공단 이사장상 (총 3점) | 한국전력공사 사장상 (총 3점) | 금오공과대학교 총장상 (총 3점) |
최우수상 | 200만원 | 1명(팀) | |||
우수상 | 100만원 | 1명(팀) |
※ 시상내용은 출품작의 내용 및 심사 결과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추진일정
접수기간 |
| 예선 심사 및 결선 진출작 발표 |
| 발표평가 및 시상식 |
8.21.(월)~9.22(금) | 10.10(화)~11.3(금) | 11월 중 | ||
*참가신청서 제출: *자세한 방법은 온국민소통(sotong.go.kr) 공모전 참고 | *온국민소통(sotong.go.kr) 공개검증 기간(10일) 포함 | *발표평가와 시상식은 별도로 진행 될 수 있음. |
□ 분야 및 주요내용
분야 | 주요 내용 | |
① | 정책 | 에너지자급자족 데이터를 활용 Web3.0 기술기반의 에너지 정책 제안 (예: AI 수요자원거래 지원 규제 제한, 블록체인기반 REC시스템 관련 시범사업 등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산업단지공단이 추진 가능한 정책) |
② | 서비스 | 에너지자급자족 데이터를 활용 Web3.0 시대에 필요한 에너지 서비스 제안 (예: Web3.0 기술을 이용한 전력거래 서비스 등 한국전력공사가 추진 가능한 에너지 관련 서비스) |
③ | 기술개발 | 에너지자급자족 데이터를 활용 Web3.0 기술기반의 에너지산업 기술 개발 (예: 블록체인기반의 REC 기술, NFT전력거래인증서 기술, 태양광 발전, 신재생에너지 블록체인 기술 등) |
□ 신청방법
○ (신청방법) 온(ON)국민소통(www.onsotong.go.kr) 공모전 공고문에서 참가서류 다운로드 후 이메일 제출
<공고문 바로가기 ☞ https://me2.do/5Ti1MPZ1>
○ (제출서류) [별첨1] 참가신청서, 청렴서약서, 개인정보이용동의서, 저작재산권 양도 동의서, [별첨2] 기획서*
* 각 분야 기획서 양식에 따라 제출, 기술 개발 분야는 기획서 & 개발 결과물 등 제출
* 결선대회 진출작을 대상으로 파워포인트 30쪽 이내 발표자료 제출
○ (제출방법) 이메일 제출(energydata@naver.com)
- 참가서류 일체 작성하여 PDF파일로 제출
- 위 제출서류를 하나의 폴더에 넣어 압축(ZIP파일) 후 이메일 제출
(폴더명 예시 : 공모부문(정책, 서비스, 기술개발 중 택1)_이름또는팀명.zip)
□ 공모전 평가방법
○ 예선 심사(우수작 15점 선정) → 결선 발표평가(순위 결정)
- (예선) 심사위원 서면 평가 → 결선 진출작 선정 결과 통보(10월 중)
* 서면 평가 시, 내용 확인 등을 위해 온라인 인터뷰를 요청할 수 있음
- (결선) 팀별 PT 발표(11월초 예정, 추후 개별 공지) 후 순위 결정
※ 결선은 오프라인 대면평가이며, 공개 발표형태로 진행(발표 + 질의 응답)
□ 평가 기준
○ 주제 적합성, 기술성, 독창성, 효과성, 아이디어 논리성 등에 중점
< 정책 분야 평가 기준 >
지표 | 내용 | 배점 |
주제 적합성 | ?아이디어와 주제의 적합성 및 에너지분야 데이터 이해도 | 20 |
기술성 | ?아이디어 도출에 제시한 기술의 수준 ?아이디어의 구체성 및 서비스 실현 가능성 | 20 |
독창성 | ?기존 서비스와 아이디어 및 문제 해결 방법의 참신성 | 20 |
효과성 | ?아이디어가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편의성 및 영향 | 20 |
아이디어 논리성 | ?아이디어 및 전개의 논리성 | 20 |
< 서비스 분야 평가 기준 >
지표 | 내용 | 배점 |
주제 적합성 | ?아이디어와 주제의 적합성 및 에너지분야 데이터 이해도 | 20 |
기술성 | ?아이디어 도출에 제시한 기술의 수준 ?아이디어의 구체성 및 서비스 실현 가능성 | 20 |
독창성 | ?기존 서비스와 아이디어 및 문제 해결 방법의 참신성 | 20 |
효과성 | ?아이디어가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편의성 및 영향 | 20 |
아이디어 논리성 | ?아이디어 및 전개의 논리성 | 20 |
< 기술개발 분야 평가 기준 >
지표 | 내용 | 배점 |
주제 적합성 | ?아이디어와 주제의 적합성 및 에너지분야 데이터 이해도 | 20 |
기술성 | ?아이디어 도출에 제시한 기술의 수준 ?아이디어의 구체성 및 서비스 실현 가능성 | 20 |
독창성 | ?기존 서비스와 아이디어 및 문제 해결 방법의 참신성 | 20 |
효과성 | ?아이디어가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편의성 및 영향 | 20 |
완성도 | ?개발 프로그램 완성도 | 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