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사무실 S01-0607호 / S01-0607호 ☎ 051-200-7169
전공소개
한국문화와 한국어의 위상이 도약함에 따라, 한국어교육에 대한 세계적 수요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본 전공은 이에 발맞추어 전문성 있는 한국어 교원을 양성하고, 내외국인 상대로 수준 높은 한국어 강좌를 개설할 수 있는 전문가를 교육하는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를 위해 국립국어원의 인준을 포함해 다양한 전문 기관과 교류, 협력을 맺고 있으며 학생들의 학업역량 및 강의능력 향상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교육목표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 전공은 외국어로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외국인 학생들과 한국어 교원으로 헌신하기를 희망하는 학생들에게 관련된 전문적 지식을 제공하고 교원으로 갖추어야 할 교육적 소양을 기르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전공교수 현황
성명 |
최종학위 |
학위수여교 |
세부전공 |
김영선 |
문학박사 |
동아대학교 |
힌국어교육론, 한국어음운론, 한국어사 |
박수천 |
문학박사 |
서울대학교 |
한국고전문학(한문학, 서사문학) |
정규식 |
문학박사 |
동아대학교 |
한국고전문학(한문학, 구비문학) |
교과과정표
교과목 번호 |
학점 |
교과목명 |
영역 |
357201 |
3 |
한국어문법교육론* |
교과교육학 |
357202 |
3 |
한국어어휘교육론 |
|
357203 |
3 |
한국어발음교육론 |
|
364204 |
3 |
한국어표현교육론* |
|
364205 |
3 |
한국어이해교육론* |
|
357207 |
3 |
한국어교재론및지도법연구 |
|
357209 |
3 |
한국어교육실습* |
|
357301 |
3 |
한국어학일반론* |
교과내용학 |
357302 |
3 |
한국학일반론 |
|
357304 |
3 |
언어습득연구 |
|
357305 |
3 |
대조분석연구* |
|
357306 |
3 |
한국어표기법연구* |
|
357307 |
3 |
한국어능력평가론 |
|
364308 |
3 |
한국문화의 이해* |
|
357310 |
3 |
한국어와 문화산업 |
|
357331 |
2 |
논문연구 |
|
357333 |
2 |
연구보고 |
※ 한국어교원 자격 취득에 필요한 영역별 필수이수학점에 해당하는 교과목임
교과목 개요
[교과교육학]
한국어문법교육론(Theory in Teaching Korean Grammar)
국어 교육용 문법과 한국어 교육용 문법의 공통점과 차이점, 한국어 문법 교육의 필요성과 목표, 한국어 문법 교육의 원리와 방법, 그리고 한국어 문법의 교수 방법론 등, 한국어 문법 전반에 관련된 지식을 터득하게 한다.
한국어어휘교육론(Theory in Teaching Korean Vocabulary)
한국어 어휘 교육의 필요성과 목표, 어휘 교육의 원리와 방법, 한국어 어휘의 구조와 특징 등을 실제 교육 현장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가르칠 수 있는 관련 지식을 터득하게 한다.
한국어발음교육론(Theory in Teaching Korean Pronunciation)
한국어 발음교육의 필요성과 목표, 발음교육의 원리와 방법, 유창하면서도 정확한 발음 교수 방법론 등과 관련된 다양한 이론적, 실제적 지식을 습득하도록 한다.
한국어표현교육론(Theory of Korean Language Teaching (Listening and Reading)
말하기 및 듣기 교육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고 말하기 및 듣기 교육의 내용을 구성할 수 있으며 교육 현장에서 요구하는 말하기, 듣기와 관련된 실제적 지식을 기르도록 한다.
한국어이해교육론(Theory of Korean Language Teaching (Listening and Reading)
읽기 및 쓰기 교육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고 읽기 및 쓰기 교육의 내용을 구성할 수 있으며 교육 현장에서 요구하는 읽기, 쓰기와 관련된 실제적 지식을 기르도록 한다.
한국어교재론및지도법연구(Study of Korean Language Textbook and Teaching Methods)
한국어 교재론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고 자신의 교수 학습 상황에 맞는 한국어 교재를 선택하거나 교재 및 교육용 자료를 직접 제작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방대한 한국어 관련 학습 내용을 가장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이를 실제 교육 현장에서 적용하는 능력을 기르도록 한다.
한국어교육실습(Practice for Korean Language Teaching)
강의 참관, 모의 수업, 강의 실습 등과 같은 활동을 통해 교육 현장에서 한국어를 교수할 수 있는 실제 능력을 배양하도록 한다.
[교과내용학]
한국어학일반론(Introduction to Korean Linguistics)
한국어가 다른 언어와 가지는 차이점을 인식함과 동시에 한국어의 통사, 형태, 어휘, 음운, 의미 등 문법 체계 전반에 대한 분석과 평가 능력을 확보하여 이를 교육 현장에서 직접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게 한다.
한국학일반론(Introduction to Koreanology)
한국의 제반 문화, 역사에 대한 총체적인 지식을 섭렵하여 한국어의 교육적 적용 영역을 확대, 심화하여 한국어와 한국 문화에 대한 실질적인 교육 능력을 강화하도록 한다.
언어습득연구(Study of Language Acquisition)
목표어로서의 한국어를 습득하는 과정에 개재되는 모국어의 간섭 현상과, 목표어를 지향하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중간언어의 본질과 이와 관련된 다양한 언어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보다 효율적인 언어습득 과정을 고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도록 한다.
대조분석연구(Contrastive analysis Research)
대조언어학의 기본 개념과 이론적 특징을 내재화하여 한국어와 다른 언어의 다양한 언어학적 차이점을 대조 분석하여 한국어 교육 연구와 교육 현장 양면에서 효율성을 극대화하도록 한다.
한국어표기법연구(Study of Korean Orthography)
한국어의 시각적 표기 규칙을 습득하도록 하여 한글 맞춤법, 표준어 규정, 문장 부호, 외래어 표기법, 로마자 표기법, 표준화법, 오용사례 등을 교육 현장에서 직접 적용할 수 있게 한다.
한국어능력평가론(Assessing Korean Language Proficiency)
평가의 기능 및 요건을 이해하고 평가 목표에 따른 평가의 종류와 평가 방법을 파악하며, 한국어 능력 평가의 범주를 이해하고, 숙달도 별, 기술 별 평가 내용 및 평가 문항을 작성하고, 채점에 관한 구체적 내용을 진술하는 등 한국어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종합적인 평가 능력을 기르도록 한다.
한국문화의 이해(Introduction to Korean Culture)
한국 문화의 장르를 역사, 철학, 예술, 문화, 군사, 정치, 경제, 종교 등으로 구분하고 관련된 문화적 핵심과 내용을 통해 한국인이 가진 내면적 정신과 정서 등을 분석함으로써 한국과 한국문화에 대한 폭넓은 이해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한국어와 문화산업(Korean Language and Culture Industry)
한국어와 관련된 모든 매체를 대상으로 하여 경제적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문화 산업으로서의 내재적 가치를 평가하여 새로운 문화 산업으로서의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는 기초 소양을 기르도록 한다.
논문연구(Thesis Research)
한국어교육과 관련된 학문 내용을 주제별로 섭렵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연구 역량을 기르도록 한다.
연구보고(Research Report)
한국어교육과 관련된 학문적 내용을 주제별로 섭렵하고 객관적인 자료에 근거하여 자신의 의견을 체계적으로 제시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