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ctId=imageSlide,fnctNo=1016
학제 4 학기
부산시 사하구 낙동대로 550번길 37(하단동) 예술체육대학 2관 ☎051-200-1720
문화예술교육전공은 미술시장과 문화생활에서 활동할 수 있는 실천적이자 역동적인 인재를 양성합니다. 따라서 실질적이자 실무적인 교과목을 운영하여 기존의 아카데믹한 교육에서 과감하게 벗어나 21세기 역동적인 문화예술현장을 선점하려 합니다.
21세기 국제화의 흐름을 주도하는 문화예술분야에서 주도적으로 활동할 수 능력을 고취시키는 인재를 배출하는 문화예술교육전공은 개개인의 사회, 역사, 문화적 경험을 이론적으로 구체화하고 실무적 범위에서 전문화하여 미술교육과 문화생활분야에서 현세적 삶을 풍요롭게 한다.
◦ 생활형 작가 및 전통과 현대의 조화를 통한 미술시장 진출 .
◦ 미술아카데미, 학원, 문화기관, 단체 등 교육분야 경영자 양성.
◦ 문화재보존의 단청기술자, 예술품복원기술자, 학예연구사 등 자격시험 응시
사설 자격 및 이수, 취득 중 - 전국학원연합회(사)와 협의중
실용회화(Practical painting)
미술 전반에 걸친 다양한 매체를 이용해 전통회화(한국화, 서양화)의 외연을 확장하고, 일상 속에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매체를 활용해 폭넓은 회화적 표현을 탐색한다. 생활형 작품제작의 범위는 유화, 민화, 불화, 수채화와 더불어 시대성과 개별성에 맞는 콘텐츠를 개발한다.
소재와기법(Material and technique)
소재의 선택과 소재를 표현하기 위한 기법을 습득하고 다양한 미디어의 성격을 실험한다.
아트상품제작(Art product production)
개인의 창작물과 상품디자인 개념을 접목하여 상업성과 실용성의 효과적 전환을 연구한다.
미술재료학(art media)
전통적 미술 재료의 특성을 연구하여 환경과 시대성 걸맞게 적용한다.
미술아카데미경영(Art Academy Management)
문화센터, 미술아카데미, 학원 등 문화예술 분야의 사교육센터 경영에 필요한 지식을 체계화하고 사례를 분석해 적용범위를 구체화한다.
현장실습(field practice)
미술관, 개인화랑, 대안공간, 작가 작업실, 공방, 학원 및 아카데미 등 현장에서 직접 경험하여 실무능력을 고취한다.
논문연구 Ⅰ(thesis research)
문화예술교육전공 석사학위 과정 필수(선택)
졸업작품제작(Graduation work production)
문화예술교육전공 석사학위 과정 필수(선택)
서양화(painting)
서양미술의 사상적 맥락과 역사적 흐름을 파악하여 미적 범위를 습득한다. 인물화, 풍경화, 종교화, 신화, 역사화, 세속화, 정물화 등 전통장르의 현대적 감성으로 창작 연구한다.
한국화(Korean painting)
전통한국화의 사상적 맥락과 역사적 흐름을 파악하여 전통 속의 정통을 습득한다. 전통문인화, 산수화, 궁중화, 민화, 불교화, 유교화, 인물화, 동물화, 화초화 등 다양한 전통회화를 현대적 감성으로 창작 연구한다.
판화(print)
동서의 미술사에 자리한 판화의 다양한 기법을 연구하여 생활형 작품 제작 및 아트마켓과 교육현장에 접목한다.
자유제작(free production)
개인적 취향과 목적에 맞는 작품을 제작한다.
생활드로잉(life drawing)
실생활 속 표현대상을 발굴하여 드로잉의 이미지로 구현한다.
표현기법(expression technique)
개인의 사적 경험에서 소재를 발굴하고 목적에 맞는 기법을 분석한다.
다매체연구(Multimedia)
휴대폰에서부터 뉴미디어(사진, 영상 등)에 이르기까지 전자매체의 특성을 이해하여 창의적으로 활용한다.
문화콘텐츠개발(Cultural contents development)
개인과 지역사회 속에서 문화예술에 관한 컨텐츠를 개발하고 활용의 가치를 연구한다.
미술감상과컬랙션(art appreciation and collection)
미술품 감상과 컬렉션에 필요한 기초지식을 습득하여 소비자와 생산자의 교량을 확보한다.
아트센터경영및창업(Art Center Management and Startup)
아트센터의 창업에서부터 경영과 운영전략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문맥을 분석한다.
문화예술교육지도(Culture and Arts Education)
21세기 문화예술의 지도자와 교육자를 위한 현장지식을 체계적으로 탐구한다.
문화행정기획(Cultural Administration Planning)
21세기형 문화예술기획에 필요한 행정의 원리를 습득하여 환경에 걸 맞는 콘텐츠를 체계화한다.
현대미술과인문학(Contemporary Art and Humanities)
현대사회를 둘러싼 비평, 언론, 정책 등을 인문학적으로 분석하여 현세의 감성문화에 대한 이해의 폭과 실무적 지평을 넓힌다.
문헌연구(Texts analyse)
문화예술교육에 필요한 국내외 텍스트(연구서/ 비평서/ 언론보도/ 정책서/ 자료집 등)을 분석하여 창작, 교육, 창업, 산업분야의 현장을 탐구한다.
전공 사무실
부산시 사하구 낙동대로 550번길 37(하단동) 예술체육대학 2관 ☎051-200-1720
전공소개
문화예술교육전공은 미술시장과 문화생활에서 활동할 수 있는 실천적이자 역동적인 인재를 양성합니다. 따라서 실질적이자 실무적인 교과목을 운영하여 기존의 아카데믹한 교육에서 과감하게 벗어나 21세기 역동적인 문화예술현장을 선점하려 합니다.
교육과정 목표
21세기 국제화의 흐름을 주도하는 문화예술분야에서 주도적으로 활동할 수 능력을 고취시키는 인재를 배출하는 문화예술교육전공은 개개인의 사회, 역사, 문화적 경험을 이론적으로 구체화하고 실무적 범위에서 전문화하여 미술교육과 문화생활분야에서 현세적 삶을 풍요롭게 한다.
전공교수 현황
|
성명
|
김승호 |
---|---|---|
전공분야
|
미술이론(미술평론) | |
직 위
|
책임교수 | |
연구실
|
예술체육대학2관 S17-0604 | |
전 화
|
051-200-1725 |
|
성명
|
홍순환 |
---|---|---|
전공분야
|
조형예술 | |
직 위
|
부교수 | |
연구실
|
예술체육대학2관 S17-0606 | |
전 화
|
051-200-1723 |
|
성명
|
신상용 |
---|---|---|
전공분야
|
서양화 | |
직 위
|
조교수 | |
연구실
|
예술체육대학2관 S17-0603 | |
전 화
|
051-200-1738 |
|
성명
|
유형욱 |
---|---|---|
전공분야
|
한국화 | |
직 위
|
조교수 | |
연구실
|
예술체육대학2관 S17-0603 | |
전 화
|
051-200-1729 |
진로
◦ 생활형 작가 및 전통과 현대의 조화를 통한 미술시장 진출 .
◦ 미술아카데미, 학원, 문화기관, 단체 등 교육분야 경영자 양성.
◦ 문화재보존의 단청기술자, 예술품복원기술자, 학예연구사 등 자격시험 응시
자격증
사설 자격 및 이수, 취득 중 - 전국학원연합회(사)와 협의중
교과목 개요
실용회화(Practical painting)
미술 전반에 걸친 다양한 매체를 이용해 전통회화(한국화, 서양화)의 외연을 확장하고, 일상 속에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매체를 활용해 폭넓은 회화적 표현을 탐색한다. 생활형 작품제작의 범위는 유화, 민화, 불화, 수채화와 더불어 시대성과 개별성에 맞는 콘텐츠를 개발한다.
소재와기법(Material and technique)
소재의 선택과 소재를 표현하기 위한 기법을 습득하고 다양한 미디어의 성격을 실험한다.
아트상품제작(Art product production)
개인의 창작물과 상품디자인 개념을 접목하여 상업성과 실용성의 효과적 전환을 연구한다.
미술재료학(art media)
전통적 미술 재료의 특성을 연구하여 환경과 시대성 걸맞게 적용한다.
미술아카데미경영(Art Academy Management)
문화센터, 미술아카데미, 학원 등 문화예술 분야의 사교육센터 경영에 필요한 지식을 체계화하고 사례를 분석해 적용범위를 구체화한다.
현장실습(field practice)
미술관, 개인화랑, 대안공간, 작가 작업실, 공방, 학원 및 아카데미 등 현장에서 직접 경험하여 실무능력을 고취한다.
논문연구 Ⅰ(thesis research)
문화예술교육전공 석사학위 과정 필수(선택)
졸업작품제작(Graduation work production)
문화예술교육전공 석사학위 과정 필수(선택)
서양화(painting)
서양미술의 사상적 맥락과 역사적 흐름을 파악하여 미적 범위를 습득한다. 인물화, 풍경화, 종교화, 신화, 역사화, 세속화, 정물화 등 전통장르의 현대적 감성으로 창작 연구한다.
한국화(Korean painting)
전통한국화의 사상적 맥락과 역사적 흐름을 파악하여 전통 속의 정통을 습득한다. 전통문인화, 산수화, 궁중화, 민화, 불교화, 유교화, 인물화, 동물화, 화초화 등 다양한 전통회화를 현대적 감성으로 창작 연구한다.
판화(print)
동서의 미술사에 자리한 판화의 다양한 기법을 연구하여 생활형 작품 제작 및 아트마켓과 교육현장에 접목한다.
자유제작(free production)
개인적 취향과 목적에 맞는 작품을 제작한다.
생활드로잉(life drawing)
실생활 속 표현대상을 발굴하여 드로잉의 이미지로 구현한다.
표현기법(expression technique)
개인의 사적 경험에서 소재를 발굴하고 목적에 맞는 기법을 분석한다.
다매체연구(Multimedia)
휴대폰에서부터 뉴미디어(사진, 영상 등)에 이르기까지 전자매체의 특성을 이해하여 창의적으로 활용한다.
문화콘텐츠개발(Cultural contents development)
개인과 지역사회 속에서 문화예술에 관한 컨텐츠를 개발하고 활용의 가치를 연구한다.
미술감상과컬랙션(art appreciation and collection)
미술품 감상과 컬렉션에 필요한 기초지식을 습득하여 소비자와 생산자의 교량을 확보한다.
아트센터경영및창업(Art Center Management and Startup)
아트센터의 창업에서부터 경영과 운영전략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문맥을 분석한다.
문화예술교육지도(Culture and Arts Education)
21세기 문화예술의 지도자와 교육자를 위한 현장지식을 체계적으로 탐구한다.
문화행정기획(Cultural Administration Planning)
21세기형 문화예술기획에 필요한 행정의 원리를 습득하여 환경에 걸 맞는 콘텐츠를 체계화한다.
현대미술과인문학(Contemporary Art and Humanities)
현대사회를 둘러싼 비평, 언론, 정책 등을 인문학적으로 분석하여 현세의 감성문화에 대한 이해의 폭과 실무적 지평을 넓힌다.
문헌연구(Texts analyse)
문화예술교육에 필요한 국내외 텍스트(연구서/ 비평서/ 언론보도/ 정책서/ 자료집 등)을 분석하여 창작, 교육, 창업, 산업분야의 현장을 탐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