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ctId=imageSlide,fnctNo=1012
학제 5 학기
전공사무실 승학캠퍼스 인문과학대학 S01-810호 / S01-0607호 ☎ 051-200-7169
교육목표
국어의 발전과 민족의 문화 창달에 이바지할 수 있는 전문적 지식을 습득하고, 교육적 소양을 갖춘 교사를 양성․재교육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공교수 현황
|
성명
|
김영선 |
---|---|---|
전공분야
|
국어음운론 | |
직 위
|
교수 | |
연구실
|
인문과학대학 A1511 | |
전 화
|
051-200-7027 |
![]() |
성명
|
허정 |
---|---|---|
전공분야
|
현대시론 | |
직 위
|
교수 | |
연구실
|
인문과학대학 A1501 | |
전 화
|
051-200-7020 |
![]() |
성명
|
정규식 |
---|---|---|
전공분야
|
고전산문/민속학(구비문학) | |
직 위
|
부교수 | |
연구실
|
인문과학대학 A1404 | |
전 화
|
051-200-7025 |
교과과정표
교과목번호 | 교과목명 | 학점(시간) | 교과구분 | |
317203 |
| 현대문학교재연구 | 2(2) | 교과교육학 |
317205 |
| 국어학교재연구 | 2(2) | |
317212 |
| 국어과교육과정연구 | 2(2) | |
317218 | ※ | 국어교과교육론 | 2(2) | |
317916 | 0 | 국어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 | 2(2) | |
317220 | 0 | 국어교과논리및논술 | 2(2) | |
317221 |
| 고전문학교과서연구 | 2(2) | |
317302 |
| 한국현대시연구 | 2(2) | 교과내용학 |
317305 |
| 한국현대소설연구 | 2(2) | |
317307 |
| 한국현대비평연구 | 2(2) | |
317308 |
| 한국현대문학사연구 | 2(2) | 교과내용학 |
317309 |
| 중세국어연구 | 2(2) | |
317310 |
| 국어음운학연구 | 2(2) | |
317312 | ※ | 문학교육론 | 2(2) | |
317313 | ※ | 의사소통교육론 | 2(2) | |
317314 |
| 고전비평연구 | 2(2) | |
317315 |
| 고전문학작품론 | 2(2) | |
317214 |
| 고전문학지도법 | 2(2) | |
317215 |
| 현대문학지도법 | 2(2) | |
317901 | ※ | 국문학개론 | 2(2) | |
317907 | ※ | 국어사 | 2(2) | |
317910 | ※ | 국어학개론 | 2(2) | |
317316 | ※ | 국문학사 | 2(2) | |
317317 | ※ | 국어문법론 | 2(2) | |
317331 |
| 논문연구 Ⅰ | 2(2) |
|
317332 |
| 논문연구 Ⅱ | 2(2) | |
317333 |
| 연구보고 | 2(2) |
0 교직과정이수자의 교과교육영역 필수 이수과목임.
※ 교직과정이수자의 표시과목에 해당하는 기본이수과목임.
교과목 개요
[교과교육학]
317203 현대문학교재연구(Studies in Teaching Materials of Modern Literature)
현대문학 이론을 현장 지도함에 있어서 효율적인 지도방법을 수립하여 학습 효과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317205 국어학교재연구(Studies in Teaching Materials of Korean Language)
국어학 이론을 현장 지도함에 있어서 효율적인 지도방법을 수립하여 학습 효과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317212 국어과교육과정연구(Studies on Korean Curriculum)
중등학교 교육과정의 성격과 편성 및 운영지침을 이해하고 국어과 교육과정을 깊이 있게 연구한다.
317218 국어교과교육론(Theori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국어과 교육의 이념과 목적을 파악하고, 교수학습의 방법을 터득한다.
317916 국어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Material and Methods in Korean Teaching)
중등학교 국어교육에 관한 이론을 살펴보고 국어교육의 효과적인 교수방법론을 논의하며, 국어교과서를 분석한다.
317220 국어교과논리및논술(Korean Logic and Writing)
국어문장을 정확히 읽고 쓰며, 논리적인 글쓰기의 방법을 습득한다.
317221 고전문학교과서연구(Studies in Teaching Textbook of Classical Literature)
고전문학 이론을 현장 지도함에 있어서 효율적인 지도방법을 수립하여 학습 효과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과내용학]
317302 한국현대시연구(Studies in Modern Korean Poetry)
한국 현대시를 다각적인 각도에서 조명하여 한국 현대시의 본질을 탐구하며 미래의 한국시가 나아가야 할 길을 모색한다.
317305 한국현대소설연구(Studies in Modern Korean Novels)
한국의 현대소설의 구조, 기법, 특질을 종합적으로 연구 검토하고 작품을 올바로 연구 비판할 수 있는 방법을 수립한다.
317307 한국현대비평연구(Studies in Korean Modern Criticism)
한국 문학 비평의 형성과 그 전개 과정을 살피고, 한국 현대 문학의 비평이론과 방법을 구한다.
317308 한국현대문학사연구(Historical Studies in Modern Korean Literature)
갑오개혁 이후부터 오늘까지의 우리 문학의 변천과정을 역사적으로 정리하여 한국 현대 문학의 특징, 전통, 외국문학과의 관련, 사조의 변화 등을 정확히 파악하고 현대 문학의 이론을 체계화하는 데 도움을 준다.
317309 중세국어연구(Studies in Middle Korean Language)
훈민정음 창제 당시인 15세기의 국어에 대한 음운, 형태, 문법을 종합적으로 연구 규명한다.
317310 국어음운학연구(Studies in Korean Phonology)
음운, 음성의 본질적인 특성을 이해하고 올바른 발음 지도를 하여 의사 표현을 명확히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317312 문학교육론(Theories of Literature)
문학의 기본원리에 대한 연구를 통해 문학교육의 방법과 목표를 수립한다.
317313 의사소통교육론(Theories of communication)
교육과 의사소통에 관한 이론과 실제를 배우고 이를 통해 교육현장에서 실현가능한 의사소통방법에 대해서 연구한다.
317314 고전비평연구(Studies in Korean Classical Criticism)
한국 고전비평문학의 전개와 그 양상을 대표적 비평가와 비평자료를 통해 구체적이고 심도있는 연구를 한다.
317315 고전문학작품론(Theories of Classical Korean Literary Work)
한국문학사의 각 시기별 대표 작가들의 작품을 중심으로 그 문학성을 탐구한다.
317214 고전문학지도법(Korean Old Literature Teaching Methods)
고전문학의 여러 장르를 이해하고 이들을 가르치기 위한 수업계획, 수업방법, 평가방법 등을 연구한다.
317215 현대문학지도법(Korean Modern Literature Teaching Methods)
현대문학의 주요 문제들, 특히 몇 개의 장르가 동시에 관련된 문제들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현장에서의 문학연구에 관한 다양한 이론을 습득한다.
317901 국문학개론(Introduction to Korean Linguistics)
국문학 전반에 걸쳐서 시대별, 장르별 특성을 고찰하고 문학사적으로 의의있는 작가 및 작품을 소개한다.
317907 국어사(History of Korean Language)
국어사를 고대, 중세, 근세로 구분하여 표기, 음운, 어휘, 문법, 한자음, 성조 등을 통시적으로 연구하여 우리말의 발생 및 형성과정을 체계적으로 교육할 방안을 모색한다.
317910 국어학개론(Introduction to Korean Linguistics)
언어학에 관한 기초이론과 국어학의 각 영역에 대한 연구 결과와 최신 이론을 이해한다.
317316 국문학사(History of Korean Literature)
고전문학의 핵심적인 주제를 선정하여 이와 관련된 작품을 분석하고 의미를 추출하여 문학사적 변모양상과 가치를 고찰한다. 이를 바탕으로 보다 참된 고전교육의 정립을 모색한다.
317317 국어문법론(Korean Grammar)
국어문법의 이론체계와 그 범주에 관한 지식을 기초로 국어문법 교육방법을 모색한다.
317331 논문연구Ⅰ(Thesis Research Ⅰ)
317332 논문연구Ⅱ(Thesis Research Ⅱ)
317333 연구보고(Research Re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