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ctId=imageSlide,fnctNo=1013
학제 5 학기
334401 기계교과교육론(Theory of Mechanical Education)
기계분야의 직업에서 필요로 하는 지식, 기능, 태도 등을 습득하는 교육으로 공업교육과 기술교육의 정의, 프로그램, 공업기술교육의 목표 등에 대하여 학습한다.
334402 기계교과논리및논술(Logic & Discuss of Mechanical Education)
기계 교직 이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과목으로서 공학적으로 타당한 논리적 사고의 개발, 국·영문 기술보고서의 작성에 관한 작성법 학습 및 기술 글쓰기 실전능력 향상을 통하여 글로벌 시대에 국제적으로 경쟁력을 같추는 전문 소양을 배양한다.
334403 기계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Teaching Materials & Method of Mechanical Education)
장래 실업계의 교사로서 공업 분야의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학습지도를 위해 기계공학 전반을 이해시키고 아울러 교수법을 지도한다..
334404 공업교육론(Industrial Education)
공업기술분야의 직업에서 필요로 하는 지식, 기능, 태도 등을 습득하는 교육으로 공업교육과 기술교육의 정의, 프로그램, 공업기술교육의 목표 등에 대하여 학습한다.
334405 기계공작법(Manufacturing Process)
기계공작의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한다. 즉, 기계공작 및 공작기계의 원리, 절삭이론, 가공정밀도, 정밀공작기계의 특징, CNC공작기계의 원리 및 가공프로그램 등에 관하여 학습한다.
334406 기계설계(Mechanical Design)
기계 설계를 위한 기초가 되는 각종 규격, 설계의 기초, 치수 공차와 끼워 맞춤, 각종 고려사항과 기계를 구성하고 있는 각종 기계 요소별 구조, 특징 및 기초 설계법에 관하여 학습한다.
334407 유체역학(Fluid Mechanics)
유체의 성질, 정역학, 운동학 및 동력학을 통하여 유체의 차원해석, 점성효과, 관내유동 및 유체계측의 방법 등을 학습한다.
334408 열역학(Thermodynamics)
열에 의한 동력의 발생 및 변환과정과 함께 작동물질 변화에 따른 열역학 사이클에 대해서 학습하고 열에너지를 이용하는 응용 동력시스템들에 대해서 학습한다.
334409 제어공학(Advanced Control Engineering)
전기, 전자, 기계공학도에게 고전적 제어이론과 현대적 제어기법의 기초와 응용에 대하여 학습한다.
334410 기계재료(Mechanical Materials)
재료의 결정구조, 2원 및 3원 합금의 상태도 및 변태원리, 기계적 성질을 위한 시험원리와 시험방법, 그리고 열처리, 철강재료와 비철재료의 제조법, 이들의 성질과 기계재료로서의 최적용도선정에 대하여 학습한다.
334411 재료역학(Mechanics of Materials)
기계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 야기되는 재료 내부의 응력 및 변형률에 대한 개념을 습득하여 이를 공식화하고 응용하여 실제 구조물에 적용해 봄으로써 기계구조물에 대한 해석 및 설계의 기본을 습득한다.
334412 유체기계(Fluid Machinery)
유체기계는 물 또는 공기와 같은 점성이나 압축성을 가지는 실체 유체를 취급하면서
유체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하거나 또는 기계적 에너지를 유체에너지로 변환하는 기계의 총칭이다. 이는 크게 유체가 연속적으로 움직이는 터보기계와 비연속적인 흐름을 가지는 용적형기계로 크게 나뉘는데 본 과목에서는 주로 터보기계를 다룬다. 물과 같은 액체를 취급하는 수차와 펌프, 그리고 공기와 같은 기체를 취급하는 송풍기와 압축기 등의 구조 및 작동원리와 그 응용을 학습한다.
334413 자동차공학(Automobile Engineering)
자동차원동기와 공해대책에 대한 학습과 세계적인 추세를 이해하고 동력전달장치, 제동, 현가, 조향 및 전기장치와 자동차의 주행특성에 대하여 심화 학습한다.
334414 전자기계(Electronic Machine)
초정밀 산업에 발맞춰 전자와 기계의 결합인 메카트로닉스를 이용한 학습과 실습으로 전자기계에 관한 기본적인 활용이 가능하도록 수업한다.
334415 정밀공작법(Precision Engineering Process)
기계공작법의 내용 가운데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공작법에 대하여 학습한다. 즉, 정밀가공의 개념 및 가공원리와 이에 이용되는 공작기계의 구동원리 등을 학습한다.
334416 기계제도(Mechanical Drawing)
제도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 및 기계공학의 각 전문지식을 충분히 활용하여 설계를 구체화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학습한다.
334417 기계가공(Mechanical Machining)
공작기계를 이용한 기계가공 전반에 대하여 학습한다. 즉, 기계가공의 이론 및 가공원리, 그리고 이에 활용되는 공작기계에 대하여 학습한다.
334418 용접공학(Welding Engineering)
용접공학은 기계제작 방법 중의 하나로써 각종 기계구조물을 구성하는 2 개 또는 그 이상의 물체나 재료를 용융 또는 반용융 상태로 하여 융접, 압접, 및 납땜의 신뢰성 있는 접합법에 대한 기초 및 응용지식을 학습한다.
334419 고체역학(Solid Mechanics)
탄성역학, 소성역학, 점탄성 등의 기초이론과 상호관계 및 응용에 관한 연구
334420 유압공학(Fluid Power Engineering)
유압의 기본 원리를 통해서 유압펌프, 제어밸브의 특성을 이해하고 유압기기의 설계 및 선정 그리고 유압의 기본회로를 학습한다.
334421 정밀공학(Precision Egineering)
정밀가공의 개념 및 원리에 대한 이론적인 설명, 정밀가공 방법 및 정밀가공 공작기계 등에관하여 체계적으로 학습한다. 그리고 정밀가공 방법에 대한 기계적인 방법, 화학적인 방법과 전기적인 방법 등에 대하여 학습한다.
334422 내연기관(Internal Combustion Engine)
차량 및 동력원으로 주로 이용되는 내연기관을 대상으로 사용연료에 따른 각 기관의 연소특성에 대한 학습과 함께 유해 연소배출물의 생성과정 및 그 저감법에 대해서 학습한다.
334423 CAD/CAM(CAD/CAM Education)
요구하는 제품의 설계 및 도면의 해석을 컴퓨터를 통하여 자동화하고, 이를 이용하여 제품의 제작· 가공 및 생산관리에 컴퓨터를 적용하여 제어 관리를 행하는 방법과 이의 프로그램에 대하여 학습함.
334331 논문연구Ⅰ(Thesis Research Ⅰ)
334332 논문연구Ⅱ(Thesis Research Ⅱ)
334333 연구보고(Research Report)
전공사무실 승학캠퍼스 공과대학 5호관 S06-218호 ☎ 051-200-7635
전공소개
전공 학문에 대한 전반적인 이론 학습을 통해 기계공학 및 산업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는 우수한 연구기술 인력의 양성은 물론 기계공학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그 응용능력의 함양을 통해 기계분야 후진 양성을 위한 교육인을 양성합니다.
교육목표
기계공학의 전반적인 이론을 습득하고, 또한 기계공학의 교육과정을 연구함으로써 기계․금속분야의 후진 양성을 위한 교육을 실행할 수 있는 교육인을 배출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공교수현황
|
성명
|
염정국 |
---|---|---|
전공분야
|
열공학, 연료분무 | |
직 위
|
교수 | |
연구실
|
공과대학 S06-0210 | |
전 화
|
051-200-7640 |
![]() |
성명
|
이무연 |
---|---|---|
전공분야
|
열공학(열전달 및 응용전반) | |
직 위
|
교수 | |
연구실
|
공과대학 S06-0310 | |
전 화
|
051-200-7642 |
교과과정표
교과목번호 | 교과목명 | 학점(시간) | 교과구분 | |
334401 | 0 | 기계교과교육론 | 2(2) | 교과교육학 |
334402 | 0 | 기계교과논리및논술 | 2(2) | |
334403 | 0 | 기계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 | 2(2) | |
334404 | ※ | 공업교육론 | 2(2) | |
334405 | ※ | 기계공작법 | 2(2) | 교과내용학 |
334406 | ※ | 기계설계 | 2(2) | |
334407 | ※ | 유체역학 | 2(2) | |
334408 | ※ | 열역학 | 2(2) | |
334409 | ※ | 제어공학 | 2(2) | |
334410 | ※ | 기계재료 | 2(2) | |
334411 | ※ | 재료역학 | 2(2) | |
334412 | ※ | 유체기계 | 2(2) | |
334413 | ※ | 자동차공학 | 2(2) | |
334414 | ※ | 전자기계 | 2(2) | |
334415 | ※ | 정밀공작법 | 2(2) | |
334416 | ※ | 기계제도 | 2(2) | |
334417 | ※ | 기계가공 | 2(2) | |
334418 | ※ | 용접공학 | 2(2) | |
334419 |
| 고체역학 | 2(2) | |
334420 |
| 유압공학 | 2(2) | |
334421 |
| 정밀공학 | 2(2) | |
334422 |
| 내연기관 | 2(2) | |
334423 |
| CAD/CAM | 2(2) | |
334331 |
| 논문연구 Ⅰ | 2(2) |
|
334332 |
| 논문연구 Ⅱ | 2(2) | |
334333 |
| 연구보고 | 2(2) |
0 교직과정이수자의 교과교육영역 필수 이수과목임.
※ 교직과정이수자의 표시과목에 해당하는 기본이수과목 또는 기본이수 대체과목임.
교과목 개요
[교과교육학]
334401 기계교과교육론(Theory of Mechanical Education)
기계분야의 직업에서 필요로 하는 지식, 기능, 태도 등을 습득하는 교육으로 공업교육과 기술교육의 정의, 프로그램, 공업기술교육의 목표 등에 대하여 학습한다.
334402 기계교과논리및논술(Logic & Discuss of Mechanical Education)
기계 교직 이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과목으로서 공학적으로 타당한 논리적 사고의 개발, 국·영문 기술보고서의 작성에 관한 작성법 학습 및 기술 글쓰기 실전능력 향상을 통하여 글로벌 시대에 국제적으로 경쟁력을 같추는 전문 소양을 배양한다.
334403 기계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Teaching Materials & Method of Mechanical Education)
장래 실업계의 교사로서 공업 분야의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학습지도를 위해 기계공학 전반을 이해시키고 아울러 교수법을 지도한다..
334404 공업교육론(Industrial Education)
공업기술분야의 직업에서 필요로 하는 지식, 기능, 태도 등을 습득하는 교육으로 공업교육과 기술교육의 정의, 프로그램, 공업기술교육의 목표 등에 대하여 학습한다.
[교과내용학]
334405 기계공작법(Manufacturing Process)
기계공작의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한다. 즉, 기계공작 및 공작기계의 원리, 절삭이론, 가공정밀도, 정밀공작기계의 특징, CNC공작기계의 원리 및 가공프로그램 등에 관하여 학습한다.
334406 기계설계(Mechanical Design)
기계 설계를 위한 기초가 되는 각종 규격, 설계의 기초, 치수 공차와 끼워 맞춤, 각종 고려사항과 기계를 구성하고 있는 각종 기계 요소별 구조, 특징 및 기초 설계법에 관하여 학습한다.
334407 유체역학(Fluid Mechanics)
유체의 성질, 정역학, 운동학 및 동력학을 통하여 유체의 차원해석, 점성효과, 관내유동 및 유체계측의 방법 등을 학습한다.
334408 열역학(Thermodynamics)
열에 의한 동력의 발생 및 변환과정과 함께 작동물질 변화에 따른 열역학 사이클에 대해서 학습하고 열에너지를 이용하는 응용 동력시스템들에 대해서 학습한다.
334409 제어공학(Advanced Control Engineering)
전기, 전자, 기계공학도에게 고전적 제어이론과 현대적 제어기법의 기초와 응용에 대하여 학습한다.
334410 기계재료(Mechanical Materials)
재료의 결정구조, 2원 및 3원 합금의 상태도 및 변태원리, 기계적 성질을 위한 시험원리와 시험방법, 그리고 열처리, 철강재료와 비철재료의 제조법, 이들의 성질과 기계재료로서의 최적용도선정에 대하여 학습한다.
334411 재료역학(Mechanics of Materials)
기계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 야기되는 재료 내부의 응력 및 변형률에 대한 개념을 습득하여 이를 공식화하고 응용하여 실제 구조물에 적용해 봄으로써 기계구조물에 대한 해석 및 설계의 기본을 습득한다.
334412 유체기계(Fluid Machinery)
유체기계는 물 또는 공기와 같은 점성이나 압축성을 가지는 실체 유체를 취급하면서
유체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하거나 또는 기계적 에너지를 유체에너지로 변환하는 기계의 총칭이다. 이는 크게 유체가 연속적으로 움직이는 터보기계와 비연속적인 흐름을 가지는 용적형기계로 크게 나뉘는데 본 과목에서는 주로 터보기계를 다룬다. 물과 같은 액체를 취급하는 수차와 펌프, 그리고 공기와 같은 기체를 취급하는 송풍기와 압축기 등의 구조 및 작동원리와 그 응용을 학습한다.
334413 자동차공학(Automobile Engineering)
자동차원동기와 공해대책에 대한 학습과 세계적인 추세를 이해하고 동력전달장치, 제동, 현가, 조향 및 전기장치와 자동차의 주행특성에 대하여 심화 학습한다.
334414 전자기계(Electronic Machine)
초정밀 산업에 발맞춰 전자와 기계의 결합인 메카트로닉스를 이용한 학습과 실습으로 전자기계에 관한 기본적인 활용이 가능하도록 수업한다.
334415 정밀공작법(Precision Engineering Process)
기계공작법의 내용 가운데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공작법에 대하여 학습한다. 즉, 정밀가공의 개념 및 가공원리와 이에 이용되는 공작기계의 구동원리 등을 학습한다.
334416 기계제도(Mechanical Drawing)
제도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 및 기계공학의 각 전문지식을 충분히 활용하여 설계를 구체화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학습한다.
334417 기계가공(Mechanical Machining)
공작기계를 이용한 기계가공 전반에 대하여 학습한다. 즉, 기계가공의 이론 및 가공원리, 그리고 이에 활용되는 공작기계에 대하여 학습한다.
334418 용접공학(Welding Engineering)
용접공학은 기계제작 방법 중의 하나로써 각종 기계구조물을 구성하는 2 개 또는 그 이상의 물체나 재료를 용융 또는 반용융 상태로 하여 융접, 압접, 및 납땜의 신뢰성 있는 접합법에 대한 기초 및 응용지식을 학습한다.
334419 고체역학(Solid Mechanics)
탄성역학, 소성역학, 점탄성 등의 기초이론과 상호관계 및 응용에 관한 연구
334420 유압공학(Fluid Power Engineering)
유압의 기본 원리를 통해서 유압펌프, 제어밸브의 특성을 이해하고 유압기기의 설계 및 선정 그리고 유압의 기본회로를 학습한다.
334421 정밀공학(Precision Egineering)
정밀가공의 개념 및 원리에 대한 이론적인 설명, 정밀가공 방법 및 정밀가공 공작기계 등에관하여 체계적으로 학습한다. 그리고 정밀가공 방법에 대한 기계적인 방법, 화학적인 방법과 전기적인 방법 등에 대하여 학습한다.
334422 내연기관(Internal Combustion Engine)
차량 및 동력원으로 주로 이용되는 내연기관을 대상으로 사용연료에 따른 각 기관의 연소특성에 대한 학습과 함께 유해 연소배출물의 생성과정 및 그 저감법에 대해서 학습한다.
334423 CAD/CAM(CAD/CAM Education)
요구하는 제품의 설계 및 도면의 해석을 컴퓨터를 통하여 자동화하고, 이를 이용하여 제품의 제작· 가공 및 생산관리에 컴퓨터를 적용하여 제어 관리를 행하는 방법과 이의 프로그램에 대하여 학습함.
334331 논문연구Ⅰ(Thesis Research Ⅰ)
334332 논문연구Ⅱ(Thesis Research Ⅱ)
334333 연구보고(Research Re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