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ctId=imageSlide,fnctNo=1015
전공사무실 승학캠퍼스 인문과학대학 S01-0810호 / S01-0607호 ☎ 051-200-7169
교육목표
21세기 지식 정보사회에 필요한 인문학적 소양을 갖춘 독서교육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책을 매개로 지식과 정보를 체계적으로 활용하는 능력 및 현장 교육 실무 능력을 지닌 인재를 육성하고자 한다.
전공교수 현황
|
성명
|
이국환 |
---|---|---|
전공분야
|
현대문학, 독서교육 | |
직 위
|
교수 | |
연구실
|
인문과학대학 A1512 | |
전 화
|
051-200-7034 |
![]() |
성명
|
정봉석 |
---|---|---|
전공분야
|
현대 극문학 | |
직 위
|
교수 | |
연구실
|
인문과학대학 A1408 | |
전 화
|
051-200-7029 |
![]() |
성명
|
이재형 |
---|---|---|
전공분야
|
독서교육 | |
직 위
|
조교수 | |
연구실
|
인문과학대학 A1212 | |
전 화
|
051-200-1041 |
교과과정표
교과목번호 | 교과목명 | 학점(시간) | 교과구분 |
359201 | 독서교육론 | 2(2) | 교과교육학 |
359202 | 독서교육의 교육학적 기초 | 2(2) | |
359203 | 발달적 독서와 인지 심리학 | 2(2) | |
359204 | 수준별 독서지도 | 2(2) | |
359205 | 독서교재연구 및 지도법 | 2(2) | |
359206 | 통합독서교육방법론 | 2(2) | |
359207 | 독서지도 프로그램 설계 및 연구 | 2(2) | |
359208 | 독서논술교육 | 2(2) | |
359301 | 문학과 독서지도 | 2(2) | 교과내용학 교과내용학 |
359302 | 독서문화론 | 2(2) | |
359303 | 교과독서지도 | 2(2) | |
359304 | 독서교육지도 세미나 | 2(2) | |
359305 | 매체를 활용한 독서교육 | 2(2) | |
359306 | 인문독서지도 | 2(2) | |
359307 | 독서와 치유 | 2(2) | |
359308 | 고전독서지도 | 2(2) | |
359309 | 문학과 치유 | 2(2) | |
359310 | 독서와 글쓰기 | 2(2) | |
359311 | 독서창작론 | 2(2) | |
359312 | 독서토론지도 | 2(2) | |
359331 | 논문연구 Ⅰ | 2(2) | |
359332 | 논문연구 Ⅱ | 2(2) | |
359333 | 연구보고 | 2(2) |
교과목 개요
[학제] 5 학기
[교과교육학]
359201 독서교육론 (Theory of Reading Education)
독서교육학을 구성하는 제 영역 및 독서교육의 이론과 실제에 대한 체계적인 개론적 이해와 탐구를 통해 독서교육전문가로서 지녀야 할 학문적 기초와 전문성을 신장한다.
359202 독서교육의 교육학적 기초(Educational Foundation of Reading)
독서교육 전문가를 양성하는 데 필수적인 교육학적 기초 능력을 함양한다.
359203 발달적 독서와 인지심리학(Developmental Reading and Cognitive Psycholgoy)
아동 · 청소년 발달 단계에 따른 독서발달과정 및 독서수준별 교육 방법을 이해한다 . 독서발달과정에서 나타나는 인지적 요인과 심리학적인 특성들을 파악하여 독서지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연구한다.
359204 수준별 독서지도(Reading Guide for Level-Differentiated)
독서지도과정에서 개별 학생의 인지능력 및 독서력을 파악하고 각각의 수준에 알맞은 지도법을 적용함으로써 독서지도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방법을 모색한다.
359205 독서교재연구 및 지도법(Studies on Reading Material and Methods of Teaching)
독서지도를 보다 효율적으로 지도하기 위한 독서교재의 분석과 그 지도법 학습을 목적으로 한다 . 이를 바탕으로 책의 선택 및 실제 독서지도방향의 다양함을 제시하여 전문적인 독서지도 능력을 기른다.
359206 통합독서교육방법론(The Education Methodology of Integrated Reading)
독서를 통한 교과의통합, 듣기-말하기-읽기-쓰기 등 언어의 전영역을 통합, 삶과의 통합을 지향하는 통합 독서교육은 학교 교육과 밀접한 상관성이 있다. 학교 교과과정과 연계한 책 선정 방법을 익히고, 이를 바탕으로 치유적 글쓰기, 토의-토론 등을 활용한 독서교육 방법을 모색한다.
359207 독서지도 프로그램 설계 및 연구(Reading Guide Programs Design &
Research)
독서 프로그램에 대해 이해하고 주제별, 시기별, 상황별 프로그램을 실질적으로 연구하고 현장에 적용한다.
359208 독서논술교육(Reading and Essay Education)
독서와 논술의 통합이론을 교육하고 독서의 독해과정을 통해 논술의 중요 요소를 이해한다 . 이를 바탕으로 독서지도의 전반적인 이론과 논술의 다양한 지도방법을 연구한다.
[교과내용학]
359301 문학과 독서지도(Literature & Reading Guide)
문예이론을 바탕으로 문학텍스트를 통한 독서지도 방법을 습득한다 . 여기서 문학텍스트란 서적뿐만 아니라 연극 · 영화 ‧ 드라마 등 다양한 장르를 포괄한다 . 이러한 문학텍스트와 독서지도 방법을 연구하여 적용하고 분석하도록 한다.
359302 독서문화론(Culture of Reading with literacy Environmant)
독서 동기와 태도 , 문식성 환경을 포함한 독서 관련 환경과 지역사회의 독서경험 , 시대적 흐름 , 사회적 인프라 등을 통해 가정과 학교 , 지역사회 , 공공도서관이란 공간을 중심으로 독서태도 형성을 돕는 문화 만들기에 중점을 두고 연구한다 .
359303 교과독서지도(Content Area Reading Guide)
교과 학습 독서는 글에 제시된 정보와 개념을 잘 이해하고 기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는 점에서 여러교과의 학습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여러 교과 영역에서 학습을 위한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는 독서전략을 이해하고 그 방안들을 모색한다 .
359304 독서교육연구 세미나(Seminar for Reading Research)
독서교육과 관련된 최근 연구동향을 분석 · 비판함으로써 독서교육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정립한다. 독서교육을 주제로 연구 발표와 토론을 통해서 독자적인 연구 영역을 설정하고 실행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
359305 매체를 활용한 독서교육(Reading Education Utilizing Media)
희곡/연극과 시나리오/영화 등의 매체를 활용한 독서교육의 방법론을 연구한다.
359306 인문독서지도(Humanities Reading Guide)
문학, 역사, 철학을 중심으로 한 인문학 분야의 폭넓은 독서는 교육의 핵심이다. 독서교육에 적합한 인문학 분야의 서적을 선정하는 방법과 강독 , 대화 ․ 토론 ․ 서평쓰기 등의 다양한 인문독서지도방법을 살펴본다 .
359307 독서와 치유(Reading & Healing)
독서의 치유 기능에 관해 연구한다. 기존 독서치료의 이론적 기초와 절차를 이해하고 구체적인 방법을 연구한다. 독서활동을 중심 매개로 하여 시 ‧ 글쓰기 ‧ 이야기치료 등의 다양한 방법론을 모색한다.
359308 고전독서지도(Reading Guide Literature Classic)
고전작품을 장르별로 분류 · 선정하고 작품을 해석하는 주요한 관점을 이해하며 학습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기존 주입식 교육에서 탈피해 충분한 독서를 통한 기초 사유 강화와 다양한 분야의 고전에 관한 토론 및 발표를 통해 통합적 시각을 배양한다.
359309 문학과 치유(Literature & Healing)
현대인의 심리적, 정서적인 갈등을 문학으로 접근하여 글쓰기, 드라마 등을 활용한 통찰의 과정을 통해 치유의 기능이 있음을 인식한다. 텍스트를 분석하여 문학과 치료의 유기적 관계를 인식하고 문학적 치유의 원리를 학문적으로 연구한다.
359310 독서와 글쓰기(Reading & Writing)
독서 없이 좋은 글을 쓸 수 없으며 글이 없으면 책도 없다. 이 수업은 독서와 글쓰기가 하나이기에 독서 후 글쓰기를 통해 독서교육과 글쓰기 교육을 통합한 교육을 연구하는 것이 목표이다.
359311 독서창작론(Creation Writing Theory of Reading)
창작활동은 책에 관한 깊은 이해를 돕고 창조적 글쓰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독서교육 방법이다. 이에 독자가 독서를 통해 얻은 지적, 정서적 결과물을 어떻게 창작 활동에 적용할 수 있는지를 연구한다.
359312 독서토론지도(Reading Discussion Guide)
독서토론지도는 토론을 위주로 하되 읽기, 쓰기, 듣기, 말하기 등 언어 기능의 통합과 범교과 삶과의 통합을 지향하는 독서지도이다. 이 교과는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제 독서지도를 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359331 논문연구 Ⅰ(Thesis Research Ⅰ)
359332 논문연구 Ⅱ(Thesis Research Ⅱ)
359333 연구보고(Research Re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