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ctId=imageSlide,fnctNo=1022
학제 5 학기
전공사무실 승학캠퍼스 인문과학대학 S01-707호 ☎ 051-200-7060
전공소개
역사교육전공은 역사교육과 역사교육 방법론에 관련해 전문성을 가진 교사를 양성하여 교육현장에서 넓은 관점으로 중·고교 학생들에게 역사교육을 받을 수 있게 하는 데 1차적인 목표를 두고 있습니다. 또한 교육과 더불어 역사교육 자신이 새로운 학문적 동향을 파악하고, 연구와 교육을 심화하여 역사연구에 대한 전문성을 기르는 데에 2차적인 목표를 두고자 합니다. 이와 관련된 커리큘럼을 역사교육전공 학생들에게 제공하고 있으며, 다음과 같은 학습 목표 설정을 통해 역사교육전공 대학원생들을 지도하고 있습니다.
첫째. 시대사 학습을 통하여 각 시대에 대한 구조적 이해를 도모한다.
둘째. 각 영역의 분야별 연구를 통하여 사상과 문화, 그리고 사회경제 체제에 대한 이해를 심화한다.
셋째. 역사교육 방법론의 심화교육을 통해 기존의 방법론에서 벗어나 새로운 관점을 제시할 수 있게 한다.
교육목표
한국사 및 동․서양사 분야에 관한 전문적 지식, 교수법과 인접학문과의 관계를 연구함으로써 역사교육전문가로서 필요한 폭넓고 균형있는 지식 및 역사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갖도록 하며 역사교육을 통해 국가와 사회의 발전에 기여 할 수 있는 교육자로서의 자질을 배양한다.
전공교수 현황
|
성명
|
김학이 |
---|---|---|
전공분야
|
서양근현대사 | |
직 위
|
교수 | |
연구실
|
인문과학대학 A1401 | |
전 화
|
051-200-7068 |
![]() |
성명
|
조형열 |
---|---|---|
전공분야
|
한국근현대사, 사상사 | |
직 위
|
조교수 | |
연구실
|
인문과학대학 A1410 | |
전 화
|
051-200-7097 |
![]() |
성명
|
이주현 |
---|---|---|
전공분야
|
동양사 | |
직 위
|
조교수 | |
연구실
|
인문과학대학 A1502 | |
전 화
|
051-200-7062 |
교과과정표
교과목번호 | 교과목명 | 학점(시간) | 교과구분 | |
321203 |
| 서양사교육과연구의제문제 | 2(2) | 교과교육학 |
321204 |
| 역사지리교육특강 | 2(2) | |
321205 |
| 지방사와한국사교육특강 | 2(2) | |
321206 |
| 역사교육과사회과학특강 | 2(2) | |
321207 |
| 동양사교육연구 | 2(2) | |
321209 |
| 역사교육세미나 | 2(2) | |
321210 | ※ | 역사교육론 | 2(2) | |
321213 | ※ | 역사교과교육론 | 2(2) | |
321918 | 0 | 역사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 | 2(2) | |
321215 | 0 | 역사교과논리및논술 | 2(2) | |
321216 | ※ | 사회교과교육론 | 2(2) | |
321919 | 0 | 사회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 | 2(2) | 교과교육학 |
321218 | 0 | 사회교과논리및논술 | 2(2) | |
321301 |
| 한국사의제문제 | 2(2) | 교과내용학 |
321306 | ※ | 한국사회경제사 | 2(2) | |
321308 |
| 동양사의제문제 | 2(2) | |
321309 |
| 동양사회경제사 | 2(2) | |
321310 |
| 동양사상사 | 2(2) | |
321311 |
| 서양사의제문제 | 2(2) | |
321312 |
| 서양사회경제사 | 2(2) | |
321313 |
| 서양역사학의동향 | 2(2) | |
321316 | ※ | 한국고대사 | 2(2) | |
321911 | ※ | 한국중세사 | 2(2) | |
321317 | ※ | 한국근세사 | 2(2) | |
321318 | ※ | 한국근대사 | 2(2) | |
321319 | ※ | 동아시아근대사 | 2(2) | |
321320 | ※ | 서양중세사 | 2(2) | |
321321 | ※ | 서양근대사 | 2(2) | |
321322 | ※ | 서양현대사 | 2(2) | |
321323 | ※ | 동아시아현대사 | 2(2) | |
321324 | ※ | 한국사상․문화사 | 2(2) | |
321325 | ※ | 사료강독 | 2(2) | |
321326 | ※ | 한국현대사 | 2(2) | |
321327 | ※ | 한국대외교류사 | 2(2) | |
321328 | ※ | 역사학개론 | 2(2) | |
321331 |
| 논문연구 Ⅰ | 2(2) |
|
321332 |
| 논문연구 Ⅱ | 2(2) | |
321333 |
| 연구보고 | 2(2) |
0 교직과정이수자의 교과교육영역 필수 이수과목임.
※ 교직과정이수자의 표시과목에 해당하는 기본이수과목 또는 기본이수 대체과목임.
교과목 개요
[교과교육학]
321203 서양사교육과연구의제문제(Problems in the Education and Research of the Western History)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는 서양사의 주요 국면들이 중등학교 교과서와 교재에 어떻게 서술되어 있는지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해당 주제에 대한 한국 및 서양 역사학계의 최근의 연구동향과 비교․검토한다.
321204 역사지리교육특강(Topics in the Historical-geography Education)
지리적 해석과 연계하여 역사연구와 역사교육의 방법에 관하여 교수한다.
321205 지방사와한국사교육특강(Topics in the Local History and Education of Korean History)
지방사와 지역현실에 대한 과학적 인식을 바탕으로 한국사 교육의 올바른 방향을 정립한다.
321206 역사교육과사회과학특강(Topics in the Education of History and Social Science)
중․고등학교 역사과목의 사회과목으로서의 통합추세에 대응하여 역사교육과 사회과학과의 연계를 강조하고 이를 활용하는데 목적을 둔다.
321207 동양사교육연구(Education of Asian History)
우리나라의 동양사 교육과 각국에서 실시되고 있는 동양사 교육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분석한다.
321209 역사교육세미나(Seminars of History Education)
역사교재를 과학적으로 교수할 수 있는 방법론을 교수한다.
321210 역사교육론(Educational Theories in Teaching History)
역사교육을 교육하는데 있어서 효과적이고 과학적인 방법과 내용에 대한 인식의 틀을 교수한다.
321213 역사교과교육론(Theories of Historical Studies Education)
역사를 교육하는데 있어서 효과적이고 과학적인 방법과 내용에 대한 인식과 틀을 교수한다.
321918 역사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Historical Teaching Material and Methods)
역사교재를 과학적으로 교수할 수 있는 방법론을 교수한다.
321215 역사교과논리및논술(Logic & Statements of Historical Studies)
역사교육과 관련하여 논리적 학습의 일환으로 논술작법에 관한 지식과 방법을 탐구한다.
321216 사회교과교육론(Theories of Social Studies Education)
사회를 교육하는데 있어서 효과적이고 과학적인 방법과 내용에 대한 인식과 틀을 교수한다.
321919 사회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Social Teaching Material and Methods)
사회교재를 과학적으로 교수할 수 있는 방법을 교수한다.
321218 사회교과논리및논술(Social Logic and Writing)
사회교육과 관련하여 논리적 학습의 일환으로 논술작법에 관한 지식과 방법을 탐구한다.
[교과내용학]
321301 한국사의제문제(Problems in Korean History)
한국사의 연구와 이해에 논쟁점이 되고 있는 주제를 검토하여 연구과제와 그 방향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321306 한국사회경제사(Socio-Economic History of Korea)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한국의 사회경제구조의 변화과정과 그 특징을 이해한다.
321308 동양사의제문제(Problems in Asian History)
동양사의 전개과정에서 제 사건과 문제점들을 고찰한다.
321309 동양사회경제사(Socio-Economic History of Asia)
동양의 사회경제적 발전과정을 중심으로 동양사 발전의 보편성을 연구한다.
321310 동양사상사(History of Asian Thoughts)
동양사상의 원류, 특성 및 교류 등을 개관한다.
321311 서양사의제문제(Problems in Western History)
서양사의 전개에서 제 사건들과 문제점을 고찰한다.
321312 서양사회경제사(Socio-Economic History of West)
서양의 사회경제적 발전과정을 체계적으로 파악하여 서양사 발전의 특수성과 보편성을 이해한다.
321313 서양역사학의동향(Currents in the Western Historiography)
서양역사학의 이론과 실제를 역사적이고 체계적으로 이해한다.
321316 한국고대사(Ancient History of Korea)
한국 고대사에 관한 제문제를 중심으로 연구성과를 검토하고 새로운 문제를 제기한다.
321911 한국중세사(Medieval History of Korea)
한국 중세사에 관한 제문제를 중심으로 연구성과를 검토하고 새로운 문제를 제기한다.
321317 한국근세사(Early-Modern History of Korea)
조선 건국에서 개항에 이르기까지에 관한 제문제를 중심으로 연구성과를 검토하고 새로운 문제를 제기한다.
321318 한국근대사(Modern History of Korea)
개항부터 일제 식민지 시기까지의 한국사회에 관한 제문제를 고찰하고 새로운 문제를 제기하도록 한다.
321319 동아시아근대사(Modern History of East Asia)
19세기 이후 중국 근대사회의 변혁과 갈등양상을 연구하고, 최근 연구성과를 분석한다.
321320 서양중세사(Medieval History of West)
장원제, 농노제 등 중세사회의 기본 구조적 문제들을 연구한다.
321321 서양근대사(Modern History of West)
19세기의 자유주의와 민족주의 사상의 본질과 전개과정을 연구한다.
321322 서양현대사(Contemporary History of West)
제국주의의 본질적 성격을 고찰하고 전체주의 사상의 이론적 구조와 사회적 배경을 연구한다.
321323 동아시아현대사(Contemporary History of East Asia)
중국 현대의 특성과 주요 과제를 연구한다.
321324 한국사상․문화사(History of Korea Thoughts & Cultural)
한국 사상․문화의 특성과 발전과정을 연구한다.
321325 사료강독(Readings of History of Korea Material)
한국사 각 시대의 연구와 서술에 기본적으로 이용되는 사료를 폭넓게 학습하여 해독능력과 이해를 높임으로써 한국사 연구의 기초소양을 갖출 수 있도록 한다.
321326 한국현대사(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해방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한국사회의 문제를 고찰한다.
321327 한국대외교류사(Korean History of Foreign Exchange)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한국의 외교제도 및 대상의 변동에 관한 시기별 특징을 연구한다.
321328 역사학개론(Introduction of History)
역사란 무엇이고 어떤 체계로 되어있으며 어떻게 이해하고 연구할 것인지를 알아본다.
321331 논문연구Ⅰ(Thesis Research Ⅰ)
321332 논문연구Ⅱ(Thesis Research Ⅱ)
321333 연구보고(Research Re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