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ctId=imageSlide,fnctNo=1027
학제 5 학기
전공사무실 승학캠퍼스 예술체육대학 1관 S07-0102호 ☎ 051-200-1760(1758)
전공소개
동아대학교 음악교육전공은 음악교육현장이 요구하는 교육 전문가와 지도자의 역략을 강화시키는 현직 교육기관으로서, 미래의 교사를 양성시키는 교원 양성기관입니다. 음악교사 자격증 취득과 교사 재교육 기능에 맞는 우수한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으며, 미래 교육현장이 요구하는 우수한 교육 전문가를 배출시키기 위해 앞으로도 더욱더 노력 할 것입니다.
교육목표
역사 안에서 변천해온 음악예술 전반에 대한 심미적 안목을 길러주고, 이를 교육적 시각에서 체계적이고, 포괄적으로 이해하도록 하여 나아가 이론과 실기를 겸비한 창조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음악 교육인을 양성하는데 목적을 둔다.
전공교수 현황
|
성명
|
최지은 |
---|---|---|
전공분야
|
피아노 | |
직 위
|
교수 | |
연구실
|
예술체육대학 1관 S07-0501-10 | |
전 화
|
051-200-1767 |
![]() |
성명
|
진소영 |
---|---|---|
전공분야
|
작곡 | |
직 위
|
부교수 | |
연구실
|
예술체육대학 1관 S07-0501-6 | |
전 화
|
051-240-2835 |
교과과정표
교과목번호 | 교과목명 | 학점/시간 | 교과구분 | |
330204 |
| 전공실기및교수법 | 2(2) | 교과교육학 |
330206 |
| 합창교수법 | 2(2) | |
330209 | ※ | 음악교과교육론 | 2(2) | |
330210 | 0 | 음악교과논리및논술 | 2(2) | |
330211 |
| 음악교과교수법 | 2(2) | |
330919 | 0 | 음악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 | 2(2) | |
330213 |
| 음악교과교육연구방법론 | 2(2) | |
330214 |
| 음악교과교육과정연구 | 2(2) | |
330215 |
| 음악교과교육세미나 | 2(2) | 교과교육학 |
330216 |
| 음악교과교육평가 | 2(2) | |
330301 |
| 음악학개론 | 2(2) | 교과내용학 |
330302 |
| 음악이론사 | 2(2) | |
330303 |
| 관현악기법 | 2(2) | |
330305 |
| 음악미학 | 2(2) | |
330306 |
| 음악감상지도법 | 2(2) | |
330308 |
| 음악문헌연구 | 2(2) | |
330313 |
| 전통음악이론 | 2(2) | |
330314 |
| 지휘법개론 | 2(2) | |
330315 |
| 편곡법 | 2(2) | |
330317 |
| 한국음악사및문헌 | 2(2) | |
330320 | ※ | 서양음악사 | 2(2) | |
330321 | ※ | 음악분석및형식론 | 2(2) | |
330322 | ※ | 국악실기 | 2(2) | |
330323 | ※ | 피아노반주법 | 2(2) | |
330324 | ※ | 합창․합주지도법 | 2(2) | |
330325 |
| 컴퓨터음악 | 2(2) | |
330326 | ※ | 화성법 | 2(2) | |
330905 | ※ | 국악개론 | 2(2) | |
330331 |
| 논문연구 Ⅰ | 2(2) |
|
330332 |
| 논문연구 Ⅱ | 2(2) | |
330333 |
| 연구보고 | 2(2) |
0 교직과정이수자의 교과교육영역 필수 이수과목임.
※ 교직과정이수자의 표시과목에 해당하는 기본이수과목 또는 기본이수 대체과목임.
교과목 개요
[교과교육학]
330204 전공실기및교수법(Teaching Method and Applied Major)
교육현장에서 실제적으로 필요한 가창이나 반주법, 악기연주실기를 통해 보다 효과적인 실기교육을 할 수 있다.
330206 합창교수법(Choral Pedagogy)
다양한 장르의 합창곡으로 조화와 균형속에서 형성되는 합창음악의 효과적인 지도방법을 연구한다.
330209 음악교과교육론(Education Theories in Teaching Music)
음악교육철학과 음악교육의 기초적인 원리, 이론을 고찰하고 현장에서의 적용방법을 탐구하여 음악교육의 체계를 정립한다.
330210 음악교과논리및논술(The Logic and Discourse in Music Education)
음악교육관련연구에 필요한 논리를 개발하고, 이를 통해서 실제 논문작성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모색한다.
330211 음악교과교수법(The Teaching Method of Music)
음악교육의 목표, 내용, 방법, 수행평가를 포함한 평가방법에 대한 이론을 고찰하고 실제 음악수업에서의 적용방안을 강구한다.
330919 음악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Teaching Materials and Strategies in Music Education)
음악적 감수성을 개발하기 위해서 특정한 교육여건과 학습상황에 적절한 교재의 선택 및 지도방법을 연구한다. 창의적이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개발할 수 있는 다양한 교수전략을 계획하고 실행해본다.
330213 음악교과교육연구방법론(Research in Music Teaching Education)
효과적인 초․중등학교의 음악교육을 방법적인 면에서 여러나라와 비교하여 연구해보고, 현재 시행되고 있는 음악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밝힘에 그 목적을 둔다.
330214 음악교과교육과정연구(The Studies of Music Teaching Curriculum)
초등, 중등학교의 음악과 교육과정의 발전을 위해서 우리나라와 세계의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하고, 보다 바람직한 교육과정을 작성한다. 특히, 음악교육의 목표, 지도내용단계, 평가에 관한 구체적 내용에 대해 심도있는 연구를 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한다.
330215 음악교과교육세미나(Seminar in Music Teaching Education)
음악교육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전반적인 문제를 주제로 선정하여 토론하고 문제점을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탐색한다.
330216 음악교과교육평가(Evaluation in Music Teaching Education)
음악 지도방법과 관련하여 다양한 평가방법을 분석하고 학교교육에서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평가방법을 탐색한다.
[교과내용학]
330301 음악학개론(Introduction to Musicology)
음악을 학문으로 보는 여러가지 형태를 포괄하여 음악학에 대한 올바른 접근을 쉽게 소개하는데 그 목표가 있다.
330302 음악이론사(History of Music Theory)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는 음악이론의 발달과정을 시대별․장르별로 분석․연구한다.
330303 관현악기법(Orchestration)
관혁악법의 실제적인 이론 및 실습을 통하여 기법의 체득과 관현악법 편곡 및 작곡을 연구한다.
330305 음악미학(Aesthetics of Music)
음악전체를 대상으로 하여 그 미적 본질을 규명함을 목적으로 하여 음악 독자적인 인식 방법과 음악적 형성력 및 구상력을 미학적으로 탐구함으로서 예술학 및 철학의 관계에서 음악을 연구한다.
330306 음악감상지도법(Music Appreciation)
리코딩을 통하여 고대로부터 현대의 모든 음악을 듣고 음악미의 예술적 이상을 추구케하고 정서 함양과 인간미를 형성케 한다.
330308 음악문헌연구(Studies in Music Literature)
고전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모든 악곡을 총괄하여 시대 순으로 작품별로 연구한다.
330313 전통음악이론(Theor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전통음악이론에 대한 이론적 저변지식을 습득함으로써, 전통음악의 분석과 이해를 돕는다.
330314 지휘법개론(Introduction to Conducting Method)
음악의 지휘를 위한 기초적 테크닉을 이론과 실습을 통해 익히게 하여 지휘에 대한 이해를 증진케 함에 그 목표를 둔다.
330315 편곡법(Arrangement)
교육현장에서 필요한 기초적인 편곡법을 익힘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음악수업을 할 수 있다.
330317 한국음악사및문헌(History of Korean Music and Literature)
전통 음악이론과 서양 음악이론을 자원으로 문헌을 통해 연구함으로 한국 음악을 위한 학문적 체계를 수립하고, 한국․민족음악의 길을 모색하는데 있다.
330320 서양음악사(History of Western Music)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는 서양음악의 음악형식, 연주방법, 작품형태 등을 역사적으로 고찰 연구한다.
330321 음악분석및형식론(Music Analysis and Musical Form)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음악 전반에 대한 구성상의 시대별, 형태별 또는 작곡가나 음악적 분류에 따른 제반 특성을 분석 연구하여, 음악미의 법칙성과 내용, 형식, 양식 등을 밝힘에 그 목표를 둔다.
330322 국악실기(Korean Music Skill)
국악교육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단소와 장구를 배워서 국악실기를 음악교육에 활용한다.
330323 피아노반주법(Piano Accompaniment)
다양한 스타일의 성악곡과 기악곡의 경험과 연습을 통하여 반주기법을 터득하여 실제의 음악교육에 활용한다.
330324 합창․합주지도법(Teaching Method & Ology of choir and Ensemble)
음악전공의 특성에 비추어 재학시절 및 졸업 후 합창 지휘자로 활동하는 기회가 매우 많으므로 전문적인 합창지휘자가 갖추어야 될 음악적 소양 및 기능을 교육한다.
330325 컴퓨터음악(Computer Music)
기본적으로 두 가지의 실용적 효과를 목표로 한다. Sequencing 프로그램의 교육으로 연주자의 도움없이 대규모 편성작품의 최종 청취를 가능케하고, Notation 프로그램에 의해 다양한 악보 출력 등 기본형식의 혁신에 기여한다.
330326 화성법(Harmonik)
음악의 3대 요소 중 하나인 화성의 원리를 연구하여 이론적 바탕이 확립된 연주 음악가를 지향한다.
330905 국악개론(Introduction to Korean Music)
고유의 전통음악 문화인 국악에 대한 여러 지식을 습득시키고, 감상력을 증진시켜 보다 폭 넓은 음악 교육인으로 육성한다.
330331 논문연구Ⅰ(Thesis Research Ⅰ)
330332 논문연구Ⅱ(Thesis Research Ⅱ)
330333 연구보고(Research Re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