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ctId=imageSlide,fnctNo=1017
학제 5 학기
전공사무실 승학캠퍼스 예술체육대학 2관 S17-0405호 ☎ 051-200-1740
전공소개
오늘날 글로벌화 사회가 요구하는 미술문화에 대한 올바른 가치와 개개인의 감성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표현능력을 갖춘 창의적인 교육자를 양성합니다.
교육목표
21세기의 미술문화는 국제화의 흐름을 주도하는 영역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오늘날 글로벌화사회가 요구하는 미술문화에 대한 올바른 가치와 개개인의 감성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교육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인간의 최초의 정신행위에 속하는 미술과 사회적 현상으로서의 변화하는 미술문화를 심도 있고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21세기에 정보화 시대에 걸 맞는 첨단 미술교육의 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공교수 현황
|
성명
|
홍순환 |
---|---|---|
전공분야
|
조형예술 | |
직 위
|
책임교수 | |
연구실
|
예술체육대학2관 S17-0606 | |
전 화
|
051-200-1723 |
![]() |
성명
|
박양미 |
---|---|---|
전공분야
|
조형디자인 | |
직 위
|
조교수 | |
연구실
|
예술체육대학2관 S01-1210 | |
전 화
|
051-200-0935 |
![]() |
성명
|
신상용 |
---|---|---|
전공분야
|
서양화 | |
직 위
|
조교수 | |
연구실
|
예술체육대학2관 S17-0603 | |
전 화
|
051-200-1738 |
![]() |
성명
|
유형욱 |
---|---|---|
전공분야
|
한국화 | |
직 위
|
조교수 | |
연구실
|
예술체육대학2관 S17-0603 | |
전 화
|
051-200-1729 |
교과과정표
교과목번호 | 교과목명 | 학점(시간) | 교과구분 | |
328210 |
| 동양화교육론 | 2(2) | 교과교육학 |
328211 |
| 서양화교육론 | 2(2) | |
328212 |
| 조각교육론 | 2(2) | |
328313 | ※ | 미술교과교육론 | 2(2) | |
328922 | 0 | 미술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 | 2(2) | 교과교육학 |
328215 | 0 | 미술교과논리및논술 | 2(2) | |
328316 |
| 미술비평연구 | 2(2) | |
328203 |
| 예술교육철학 | 2(2) | 교과내용학 |
328302 | ※ | 현대미술론 | 2(2) | |
328305 |
| 서양미술사조 | 2(2) | |
328306 |
| 미학 | 2(2) | |
328318 |
| 현대미술사 | 2(2) | |
328319 |
| 세미나 | 2(2) | |
328320 |
| 조각특론 | 2(2) | |
328321 |
| 판화기법론 | 2(2) | |
328322 | ※ | 미술사 | 2(2) | |
328323 | ※ | 한국화 | 2(2) | |
328324 | ※ | 서양화 | 2(2) | |
328325 | ※ | 표현기법 | 2(2) | |
328326 | ※ | 판화 | 2(2) | |
328327 | ※ | 조소 | 2(2) | |
328331 |
| 논문연구 Ⅰ | 2(2) |
|
328332 |
| 논문연구 Ⅱ | 2(2) | |
328333 |
| 연구보고 | 2(2) |
0 교직과정이수자의 교과교육영역 필수 이수과목임.
※ 교직과정이수자의 표시과목에 해당하는 기본이수과목 또는 기본이수 대체과목임.
교과목 개요
[교과교육학]
328210 동양화교육론(Theories of Oriental Painting Education)
동양화의 전통적 기법과 현대적 감각을 겸비한 표현을 연구한다.
328211 서양화교육론(Theories of Western Painting Education)
창작행위의 기본인 미술작품제작에 필요한 재료, 실험, 기법, 매체, 주제와 소재를 연구한다.
328212 조각교육론(Theories of Sculpture Education)
개별적 특성에 따라 작품을 제작 연구 발전케 함으로써 독자적인 예술세계를 창출케 한다.
328213 미술교과교육론(Theories of Fine Arts Education)
잠재된 창의성 개발에 필요한 시각적 논리를 탐구하고 표현에서 감상에 이르는 전 과정에 대한 미술교과를 심층적으로 분석 및 연구한다.
328922 미술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Art Teaching Materials and Methods)
창의성에 대해 이해를 바탕으로 논리적이고 감성적인 사고를 체계적으로 유도하고 미술교육의 문제점과 이에 관련된 최근 교육동향을 중심으로 현장중등학교 미술에 관해
연구한다.
328215 미술교과논리및논술(Fine Arts Logic and Writing)
미술의 조형적인 원리와 표현의 논리적인 방법을 연구한다.
328316 미술비평연구(Studies in Art Criticism)
인간의 정신활동 및 그 결과물에 대해 올바른 평가방법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동기, 의도, 주제, 매체 그리고 시간과 공간적 문맥을 총체적으로 토론하고 연구한다.
[교과내용학]
328203 예술교육철학(Philosophy of Art Education)
예술교육 전반에 대한 실천과 이론의 문제와 그것의 해석적 방법을 철학과 미학 그리고 예술학적 관점에서 파악하여 예술교육의 정체성을 마련하고 예술에 대한 근원을 고찰한다.
328302 현대미술론(Theories of Modern Fine Arts)
현대미술(모던아트/포스트모던/동시대미술)의 흐름과 조형원리를 구체적으로 인식한다.
328305 서양미술사조(Trends in Thoughts of Western Fine Arts)
서양미술의 기원에서 19세기까지의 미술작가와 미술작품 그리고 그에 대한 담론을 역사적인 맥락 속에서 탐구한다.
328306 미학(Aesthetics)
플라톤의 모방론에서 현대의 해석학에 이르는 역사적 문맥을 연구하여 미에 대한 성격과 변화의 근원을 학습한다.
328318 현대미술사(Theories of Modern Fine Arts)
현대의 시간성과 미술의 고유한 속성이 접합하는 문맥을 역사적으로 탐구한다.
328319 세미나(Semina)
미술의 개념적 이해와 그 의미를 고찰하고 미술교육의 심층적인 능력을 기른다.
328320 조각특론(Advanced Sculpture)
개별적 특성에 따라 작품을 제작 연구 발전케 함으로써 독자적인 예술세계를 연구한다.
328321 판화기법론(Theroies of Print Techniques)
판화원리상 분류되는 기법을 연구하여 실제 작품 제작은 물론, 현실에 맞는 효율적 교육을 할 수 있는 능력 배양에 그 목적을 둔다.
328322 미술사(Theories of Fine Arts)
한국, 중국, 일본을 비교분석하여 아시아에서 선사시대에서 조선시대의 한국미술의 성격과 본질 그리고 미의식을 탐구하여 한국적인 정체성을 확립한다.
328323 한국화(Oriental Painting)
동양미술의 사상을 역사적인 맥락 속에서 파악하여 그 중요개념을 인식한다.
328324 서양화(Western Painting)
서양미술의 사상을 역사적인 맥락 속에서 파악하여 그 중요개념을 인식한다.
328325 표현기법(Methods of Expression)
재료선택의 중요성과 기법분석을 파악하여 개인적인 또는 공통적인 경험과 훈련에 의해 창의적인 표현에 역점을 둔다.
328326 판화(Art of Engraving)
판화원리상 분류되는 기법을 연구하여 실제 작품 제작은 물론, 현실에 맞는 효율적인 교육을 할 수 있는 능력 배양에 그 목적을 둔다.
328327 조소(Sculpture)
조형의 원리 및 요소를 이해하며, 제반 조형활동에 따른 창조적인 조형능력을 기르고자 한다.
328331 논문연구Ⅰ(Thesis Research Ⅰ)
328332 논문연구Ⅱ(Thesis Research Ⅱ)
328333 연구보고(Research Re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