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ctId=imageSlide,fnctNo=1014
학제 5 학기
전공사무실 승학캠퍼스 인문과학대학 S01-810호 ☎ 051-200-7074
학과소개
한국 사회가 빠르게 다문화 사회로 변화해 나가면서 학교를 비롯한 다양한 교육현장에서 다문화 구성원들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다양한 배경과 특성을 가진 다문화 구성원들에게 적합한 체계적·효과적인 다문화교육에 대한 요구도 높아지고 있으며, 다문화교육 전공은 다문화교육 현장을 정확히 이해하고, 적절한 교육 접근 방법을 적용하는데 바탕이 되는 이론적 교과목과 다문화교육 현장 및 실무 중심의 실제적 교과목들을 접목하여 학교를 비롯한 다양한 교육현장에서 다문화교육의 이론적, 실제적 역량을 펼칠 수 있는 전문가를 양성하고자 합니다.
교육목표
다문화 사회로 변모하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다문화 교육의 이론적 탐색, 다문화 가정 구성원과 자녀의 교육적 특성과 실태 및 지원방안, 다문화이해교육의 필요성과 방향 설정, 교육과정 모색, 다문화 교육 관련 현장의 실태와 사례, 문제점, 개선방안 등에 초점을 두어 학문적이고 실제적인 탐색과 연구를 도입하고자 한다. 특히, 교육 현장에서 다문화 교육 관련 실천적 문제 해결력을 증진시키고 다문화 교육 전문성 제고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공교수 현황
|
성명
|
오성배 |
---|---|---|
전공분야
|
교육사회학, 다문화교육 | |
직 위
|
책임교수 | |
연구실
|
인문과학대학 A1411 | |
전 화
|
051-200-7079 |
|
성명
|
이유정 |
---|---|---|
전공분야
|
평생교육 및 교육사회 | |
직 위
|
조교수 | |
연구실
|
||
전 화
|
교과과정표
교과목번호 | 교 과 목 명 | 학점/시간 | 교과구분 |
358101 | 다문화교육론 | 2(2) | 교과교육학 |
358102 | 다문화주의와다문화교육 | 2(2) | |
358103 | 다문화시민교육론 | 2(2) | |
358104 | 다문화교육프로그램개발 | 2(2) | |
358105 | 다문화사회와교육과정 | 2(2) | |
358106 | 다문화교수학습방법론 | 2(2) | |
358107 | 다문화사회와청소년교육 | 2(2) | |
358108 | 다문화교육평가론 | 2(2) | |
358109 | 다문화교육연구방법론 | 2(2) | |
358110 | 다문화사회와부모교육 | 2(2) | |
358501 | 다문화가정의이해 | 2(2) | 교과내용학 |
358502 | 다문화교육정책론 | 2(2) | |
358503 | 외국의다문화교육 | 2(2) | 교과내용학 |
358504 | 다문화교육사례연구 | 2(2) | |
358505 | 다문화교육프로그램관리론 | 2(2) | |
358506 | 다문화교육세미나 | 2(2) | |
358507 | 다문화교육연구 | 2(2) | |
358508 | 다문화정책및법규론 | 2(2) | |
358509 | 다문화사회와인간의권리 | 2(2) | |
358510 | 다문화가정상담및치료 | 2(2) | |
358511 | 자원봉사관리론 | 2(2) | |
358512 | 다문화학생학습진단및지원 | 2(2) | |
358513 | 다문화가정아동발달및지도론 | 2(2) | |
358514 | 다문화교육교재개발 | 2(2) | |
358515 | 다문화이해교육프로그램개발 | 2(2) | |
358516 | 이중언어교육론 | 2(2) | |
358331 | 논문연구 Ⅰ | 2(2) |
|
358332 | 논문연구 Ⅱ | 2(2) | |
358333 | 연구보고 | 2(2) |
교과목 개요
[교과교육학]
358101 다문화교육론(Introduction to Multicultural Education)
다문화교육의 기초를 확립하는 과목으로 다문화교육의 개념과 이론적 계보를 살펴본다. 아울러, 다문화교육의 현황과 쟁점을 검토하면서 당면 과제를 도출해낸다. 다문화교육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주요 연구 주제에 대해 이해한다.
358102 다문화주의와다문화교육(Multiculturalism and Multicultural Education)
세계 각국에서 실시하고 있는 다문화주의에 입각한 다문화 교육의 흐름과 전망에 대하여 논의하고 토론해 본다.
358103 다문화시민교육론(Multicultural Citizenship Education)
시민사회의 새로운 조건으로 등장한 다문화현상을 이해하고 다문화시대의 다문화공존을 위한 도덕성과 시민성의 요소를 검토하며, 바람직한 시민 형을 모색한다.
358104 다문화교육프로그램개발(Program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다문화 가정이 경험하는 여러가지 갈등상황을 해소, 지원하는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절차와 방법, 구성 전략을 습득하기 위한 것이다.
358105 다문화사회와교육과정(Curriculum Theory in Multicultural Society)
다양한 인종과 계층이 공존하는 현대 다문화사회에서 교육과정이 어떻게 개발되고 운영되어야 하는지를 탐구한다.
358106 다문화교수학습방법론(Multicultural Teaching-learning Method)
다문화교육 강화, 특강 등의 진행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실제적 수업운영기술을 학습한다.
358107 다문화사회와청소년교육(The Multicultural Society and Youth Education)
다문화 사회에서 필요한 청소년 교육에 관해 연구하고 그 문제점을 찾아 대안을 제시한다.
358108 다문화교육평가론(Evaluation in Multicultural Education)
다문화가정 아동들을 적절히 평가하기 위한 이론적 틀과 실제 평가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358109 다문화교육연구방법론(The Research Methodology of Multicultural Education)
다문화교육현상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할 때 필요로 하는 논리와 구체적인 접근방식들을 다룬다.
358110 다문화사회와부모교육(The Multicultural Society and Parents Education)
다문화 가정 학생의 학교생활적응, 한국어 능력 향상을 위해 다문화 가정 학부모의 역량 강화의 필요성과 교육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교과내용학]
358501 다문화가정의이해(Introduction to The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ir Children)
다문화 가정의 구성원과 그 자녀가 겪는 어려움을 사례 중심으로 탐구한다.
358502 다문화교육정책론(Policy of Education for Multicultural Society)
다문화현상에 대한 정책을 수립하여 집행하고 있는 여러 국가들의 교육정책을 살펴보고, 교육정책의 기획, 채택, 실행, 평가 교육정책의 제반 과정에 대한 관련이론을 학습하여 우리나라의 다문화교육정책의 향방을 모색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358503 외국의다문화교육(The research of Multicultural Education of Foregin nations)
외국의 다문화교육 정책 및 다문화 사회로 변화된 과정의 사례에 대해 살펴보고 우리의 다문화교육의 미래를 제시한다.
358504 다문화교육사례연구(Case Study on Multicultural Education)
다문화교육과 관련한 현장의 사례 분석을 통하여 다문화에 대한 사회적 인식 현황과 실천 대안을 마련한다.
358505 다문화교육프로그램관리론(Program Implementing in Multicultural Education)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실행에 필요한 물리적 요인, 인적 요인, 제도 및 시스템적 요인을 점검하고 분석하여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실시하기 위한 관리전략을 학습하기 위한 것이다.
358506 다문화교육세미나(Seminar in Multicultural Education)
다문화교육에 대한 학문적 이해와 현장 실천방법 등에 대해 토론함으로써 다문화교육에 대한 이해와 필요성을 확립한다.
358507 다문화교육연구(Research on Multicultural Education)
다문화교육과 관련한 최근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핵심 이슈에 관한 연구들을 탐색 및 분석함으로써 다문화교육에 대한 관점과 패러다임을 정립한다.
358508 다문화정책및법규론(Multicultural Policy and Law)
다문화와 관련된 정책과 법규를 이해하고, 정책과 법규가 한국의 다문화 가정과 외국인 노동자들의 실생활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한다. 정책의 법제도적 근거와 이와 관련한 이론적 논의들을 검토한다.
358509 다문화사회와인간의권리(Human Rights in Multicultural Society)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는 새로운 사회가 토대로 삼아야 할 공준으로서 인권의 가치, 범위, 역사, 현 실태 등을 교육적 가능성과 결부시켜 포괄적으로 탐색한다.
358510 다문화가정상담및치료(Counseling and Therapy for Multicultural Family)
다문화가정 자녀가 겪는 어려움을 사례중심으로 살펴보고, 바람직한 상담방법 및 치료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358511 자원봉사관리론(Volunteer Management)
자원봉사프로그램의 효율적인 관리체계와 다문화현장의 활용을 모집, 배치, 오리엔테이션, 직무연수, 동기유발, 심리적 보상체계, 평가를 중심으로 분석한다.
358512 다문화학생학습진단및지원(Support & Diagnosis of Multicultural Student's Learning)
다문화가정 초ㆍ중등학생의 특별한 교육적 요구를 진단하고, 그들의 다양한 학습적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학습지원 전략을 구안하고 개발하고자 한다.
358513 다문화가정아동발달및지도론(Child development and Education for Multicultural Family)
다문화 가정 자녀의 생활을 지도하기 위해 다문화 가정 자녀의 발달과정상의 특징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필요한 지식을 다룬다.
358514 다문화교육교재개발(Development of text in Multicultural Education)
일반시민 대상으로 실시하는 다문화 이해교육에 필요한 다문화교육에 관한 교재를 개발하는데 필요한 지식, 절차 등에 대한 방법론을 제공한다.
358515 다문화이해교육프로그램개발(Program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Citizenship Education)
사회주류 집단의 다문화 현상 이해도를 증진시키는 다문화이해교육의 프로그램 개발과 교수 학습지도안 등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절차와 방법, 구성 전략을 학습하기 위한 것이다.
358516 이중언어교육론(Bilingual Education)
다문화 가정의 자녀들이 이중 언어를 구사하는 데 필요한 이론과 실제적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358331 논문연구Ⅰ(Thesis Research Ⅰ)
358332 논문연구Ⅱ(Thesis Research Ⅱ)
358333 연구보고(Research Re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