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에서 대학교로 올라오면서 어떻게 대학생활을 해야 할까에 대한 고민이 많았던 것 같다. 어릴 때부터 꿈꿔온 진로는 있지만 기자라는 꿈을 이루기 위해 정확히 어떤 노력을 해야하고 어떤 공부를 해야하는 지에 대해서는 그렇게 깊게 생각을 안해봤던 것 같다. 그러던 중 창의적 대학설계 공모전을 한다는 것을 보고 이 대회에 참여한다면 앞으로 4년동안의 대학생활에 대한 뚜렷한 방향이 잡힐 것 같아서 참여를 했다. 대회를 준비하면서 가장 좋았던 것은 대학교 1학년부터 4학년까지 각 학년 마다 내가 해야 할 것을 설계 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막연히 대학생활을 이렇게 보내야지, 이런걸 해야지 하는 것보다 학년 별로 계획을 짜보니 그냥 생각할 때 보다 이런 것은 꼭 해야되겠다라는 의무감이 생긴 것 같다. 또한 내가 꼭 해야 할 것을 찾아보다 보니 이전에는 몰랐던 프로그램들도 많이 알 수 있었고, 필요한 많은 정보들도 배울 수 있었다.
사실 기자라는 직업이 굉장히 되기가 어렵고, 만약 기자가 되더라도 일이 굉장히 고되고 또 박봉이라 많은 사람들이 기피하는 직업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 주위에 있는 사람들도 걱정을 많이 했기 때문에 진로를 정하고도 몇 번 흔들렸던 것은 사실이다. 그럴 때마다 나를 잡아준 건 ‘기자는 무엇으로 사는가’라는 책인데 많은 기자들이 일에서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지만 이러한 고충이 있음에도 더 좋은 세상을 만들기 위해 자신을 희생하더라도 사실을 알리려고 노력한다는 내용이다. 항상 진로문제 때문에 힘들 때 마다 이 책을 읽으면서 마음을 다잡는데 이번에도 공모전을 준비하면서 오랜만에 이 책을 읽게 되었다. 책을 읽으면서 내가 이런 마음으로 기자가 되고 싶었다라는 것을 상기시키며 다시 한번 기자가 되고 싶다는 의지를 불태울 수 있었다.
대학교에 들어와서 많은 친구들이, 심지어 선배들까지도 아직까지 자신이 무엇이 하고싶은지도 잘 모른다는 것을 알고 적잖이 놀랐던 것 같다. 이처럼 많은 학생들이 대학교에 들어와서도 자신의 꿈을 정하지 못하는 현 상황에서 창의적 대학설계 공모전 같이 자신의 진로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해볼 수 있는 기회가 많이 주어진다면 학생들에게 좋은 시간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나 또한 공모전을 준비하면서 해외봉사, 교환학생 등에 대한 몰랐던 정보들을 많이 알 수 있었고, 진로에 대한 내 마음을 다시 한번 다잡을 수 있는 좋은 시간이었기 때문에 이런 대회가 또 있다면 많은 친구들에게 추천해주고 싶고, 내년에 들어오는 후배들에게 이런 대회가 있으니까 꼭 한번 참여해봤으면 좋겠다고 권유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