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INC3.0 참여학과
1. 사업 비전 : “ABC(All Benefit Creator)” 선도모델
산학연협력에 참여하는 모두(All)를 위한 BM(Benefit model)을 창출
(Creator)하는 대학
[출처 : 동아대링크사업단 홈페이지]
2. 현장실습
[출처 : 동아대링크사업단 홈페이지]
3. 캡스톤디자인
[출처 : 동아대링크사업단 홈페이지]
●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 부산지역혁신 플랫폼 참여학과
(E-에너지 주관/H-에너지 참여)
1. 사업소개 : 지방자치단체, 대학 및 다양한 지역현신기관들이 ‘지역혁신플랫폼’을 구축함으로써 지역인재를 양성하고 취·창업을 도와 지역 정주의 선순환 생태계를 구축하고자 함
2. 핵심분야 및 대과제
3. 추진내용 및 기대효과
학사구조 개편 | 추진내용 | - BITS 공유대학 융합대학원 체계 구축 - BITS 클린에너지 융합전공 신설·운영 - 전문대 연계 모듈형 학점제 개발·운영- 산업수요 기반 마이크로 디그리 개발·운영 |
기대효과 | - 전통적인 해양 산업을 클린에너지 기반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클린에너지 융합부품소재 산업을 육성하고, 이를 위해 해양에서의 무탄소 에너지 생산/이송/저장/활용 기술 역량을 갖춘 전문인력 양성 - 2050탄소중립 로드맵에 대응을 위한 新산업 맞춤형 인력양성이 기업 성장 및 지역산업 구조 개선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체계 구축 |
|
교육과정 및 방법 혁신 개편 | 추진내용 | - 산학연 전문가 연계 교육과정 개발·운영 - H/E-에너지 부품·공정·소재 기술융합 기반 공유형 교육과정 개발·운영 - 산업 현장 문제해결 이론·실습·PBL 단계적 교욱과정 개발·운영 |
기대효과 | - 공유형 교육과정을 통해 융합형 기술 인력 인재 육성 가능 - 비교과 프로그램 및 산학연 전문가 연계를 통해 연구 및 실무능력 배양 가능 - 지역-대학-혁신기관의 수요에 따른 실무경험 중심형 전문인재 양성 모델 구축과 취업 연계를 통한 지역 성장동력 확보 |
|
교육환경 혁신 | 추진내용 | - 클린에너지 융합부품소재 공유형 실험실 구축·운영 - 온라인 연계 가능 그룹형 온라인 구축·운영 |
기대효과 | - 실험실습 인프라 공유 및 공유형 교육·연구 체계 운영을 통해 실습교육의 효율성을 강화 - 온라인 연계 기능 그룹형 온라인 강의실 구축을 통해 교수자-학습자 간의 상호작용 증대 및 수업의 효과성 향상 |
● 에너지인력양성사업단(에너지저장용 이차전지 핵심소재 중견기업 특화 인력양성)

그림1. 현장 수요기반 기업참여 산학협력형 교육 체계 구축
1. 사업 목적 : 탄소중립 시대를 이끌어갈 에너지 혁신인재 양성을 통해 에너지산업 분야에 공급하는 시스템 구축
2. 과제 목표 : 미래 신성장 동력인 이차전지 산업분야 중견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한 이차전지 핵심소재 특화 석박사 전문인력 양성 및 산학협력을 통한 고용 연계 체계 구축
1단계(2022~2025) | 2단계(2025~2027) |
기업 특화 이차전지 핵심소재 교욱과정 설계 및 확립 |
지속 가능한 이차전지 산학협력 HUB 구축 |
이차전지 핵심소재 교육과정 체계 구축 및 운영 |
이차전지 핵심소재 교욱과정 고도화 |
현장밀착형 산학 연계 프로그램 운영 (인턴 프로그램, 산학 프로젝트) |
현장밀착형 산학 연계 프로그램 고도화 (기술개발형 산학 프로젝트) |
이차전지 소재 전문가 그룹 네트워트 구축 |
이차전지 소재분야 산학협력 HUB 모델(인력/기술) 구현 |
3. 성과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 BK21 사업단(동남권 정착형 초정밀 화학소재 엔지니어 양성 교육연구단)
1. 교육연구단의 비전과 목표 : 지역과 세계를 선도하는 초정밀 화학소재 엔지니어 전문인력의 요람
2. 교육과정 이수체계
3. 동남권 정착형 초정밀 화학소재 엔지니어 양성 교육연구단의 세부 교육 프로그램
4. 동남권 정착형 초정밀 화학소재 엔지니어 양성 교육연구단의 우수 대학원생 확보 및 자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