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목 번호 |
학점 |
과 목 명 |
H12201 |
3 |
국제통상정책 심층연구 (Advanced Study of International Trade Policy) |
본 강의에서는 국제통상 관계에 대한 주요한 이론을 소개함과 동시에 국제통상 관계에서 발생하는 구체적인 사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할 것이며 이를 통해 수강생의 국제통상정책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도모한다. |
||
H12101 |
3 |
국제정치경제 세미나 (Seminar on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
지구화 및 국제 간 주요 흐름으로 나타나는 정치경제학적 변화를 고찰한다. 나아가 관련 주제에 관한 연구영역, 연구대상을 규정하고, 국제정치경제학의 학문적 배경 및 역사와 현실적 여건, 학문적 성격을 이해한다. 또한 현재 국제 정세에 관하여 기본적 이론 고찰과 더불어 실질적인 사례를 병행하여 학습하며, 국가 간 관계 및 국가와 국제기구 간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토론을 진행한다. |
||
H1559 |
3 |
지역경제통합론 세미나 (Seminar on Regional Economic Integration) |
지역경제통합은 21세기 세계경제의 화두이며 한국도 이러한 추세에 적극 동참하여 동시다발적인 FTA를 추진하고 있다. 이 강의는 지역경제통합에 관련된 정치 및 경제이론을 공부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주요 지역경제통합의 사례도 연구한다. |
||
H12205 |
3 |
해외직접투자 심층연구 (Advanced Study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
한 국가의 경제성장에 있어 해외직접투자가 갖는 중요성이 점차 높아져가고 있다. 이 과목에서는 자본의 해외직접투자행위 및 해외직접투자가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이론적으로 살펴보고 주요 국가에 대한 사례분석도 실시한다. |
||
H12228 |
3 |
국제개발협력 세미나 (Seminar on International Development and Cooperation) |
본 강의에서는 양자 혹은 다자간 국제개발협력에 대한 개념을 파악하고 역사, 이론 및 실태에 대해 올바르게 이해하여 향후 나아갈 방향에 대해 토론한다. 국제사회와 한국의 공적개발원조의 지원형태와 운용시스템, 현황에 대한 분석과 함께 NGO 활동의 중요성에 관한 토론을 시행 한다. 또한 저개발 사회의 개발, 민주화 추진, 시민사회 의식과 인권 등 세부 목표를 분석하여 토의한다. |
||
H11560 |
3 |
한국기업론 사례연구 (Case Study of Korean Enterprises) |
한강의 기적이라 불리는 한국경제의 고속성장의 견인차역할을 담당하였던 한국의 기업과 산업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고 한국기업만이 갖는 독특한 문화에 대해서도 알아본다. 또한 무한경쟁시대에서 기업은 어떠한 생존전략과 통상전략을 갖고 있는가에 대해 연구하며, 기업의 바람직한 발전방향에 대해서도 분석한다. |
||
H11561 |
3 |
EU 경제통상 세미나 (Seminar on EU Economy and Trade) |
EU는 공동체 차원의 공동통상정책 및 통상조약 체결을 배타적으로 시행하는 세계 유일한 지역통합체이다. 동 교과에서는 EU의 지역통합 심화 및 확대, 공동정책의 개발 및 발전, 공동체 기구 및 공동정책 의결시스템에 관하여 심층 연구한다. 특히 동 교과에서는 유럽연합의 발전 과정 및 제도 특성에 관하여 논의하며, 유럽 재정위기 이후 유로존의 향후 과제와 정치 통합 가능성에 관한 연구 및 토론을 진행한다. |
||
H11562 |
3 |
논문작성법과 연구윤리(2) (Dissertation Colloquium(2)) |
학위논문작성법을 이해한다. 또한 논문 작성 및 연구 진행 시 지켜야할 연구윤리에 관하여 학습한다. |
||
H11646 |
3 |
협상, 조정과 중재 사례연구 (Case Study of Negotiation, Mediation and Arbitration) |
상사(商事) 활동의 활발한 국제적 증가로 인해, 이에 따른 분 쟁 또한 기존의 소송 이외에도 다양화되는 양상을 띠고 있다. 대체적 분쟁해결(ADR)은 간편화, 다양화, 대화지향적인 분쟁의 해결을 지향함으로써 새로운 분쟁해결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점차 증가하는 중재, 조정, 협상 등의 대체적 해결방식의 배경, 현황, 방법 등을 실제 사례 분석을 통해 전반적인 이해를 넓힌다. |
||
H11647 |
3 |
국제법률영어(Ⅱ) (International Legal English(II)) |
국제법 및 영미법에 쓰이는 주요 법리와 개념을 구체적 사례 등을 살펴본다. 특히 미국헌법과 연방대법원 사례를 개인의 자유, 평등권, 국가권력분립 그리고 비즈니스와 기업 분야 등으로 나누어 글로벌시대의 주요 영미 용어와 개념을 알아보고 현대적 시사점을 도출한다. |
||
H11565 |
3 |
영미법 세미나 (Seminar on Anglo-American Law) |
한국의 법체계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는 영미법 특히 미국법의 기본적인 분야, 불법행위법, 계약법, 헌법, 형법 등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실제 사례를 연구한다. 영미법의 주요 분야에 대한 핵심 법리의 설명과 더불어 최근의 사례를 들어 변화의 동향과 한국 법과의 차이 및 시사점을 살펴본다. |
||
H11566 |
3 |
국제통상법 사례연구 (Case Study of International Trade Law) |
국제무역의 이론을 소개하면서, WTO의 법적체제를 상품, 서비스, 그리고 지적재산권 측면에서 분석하고 WTO의 법적구조와 국제경제관계를 연구해본다. 무역규제의 구체적인 분석으로 관세, 양허, 비관세장벽, 최혜국대우, 자유무역 지대와 관세동맹을 연구한다. 한미 FTA이후 달라진 FTA체결, 비준 및 이행의 주요 이슈와 통상분쟁을 개관하며 사례 중심으로 새로운 통상환경에 대한 대응방안을 논의한다. 최근의 TPP, RECP, TTIP등 새롭게 대두되는 메가 FTA의 현황과 배경, 전망을 분석한다. |
||
H11648 |
3 |
국제법의 이해 심층연구 (Advanced Study of Understanding International Law) |
국제법의 법원(source)과 최근 국제관계를 둘러싼 분쟁을 살펴보고 조약과 국제관습법으로 성립되는 국제조약, 국제기구, 국제인권, 국제형사법 등의 주요사례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
||
H11649 |
3 |
국제경제와 분쟁사례(Ⅱ) (Case Study of International Economics Law(2)) |
WTO체제와 통상규범, 국가체제와 통상규제, 국제투자규범 등을 국제경제법의 프레임안에서 살펴보고 통상분쟁과 투자분쟁 사례를 통해 시사점을 도출한다. |
||
H11569 |
3 |
국제거래와 계약법 세미나 (Seminar on International Business Law) |
국제물품매매(international sales of goods) 특히, 계약의 성립, 대리점 계약 및 독점적 매매 계약 등 미국법의 계약법을 중심으로 UN국제거래법 위원회(UNCITRAL)의 국제물품매매협약(CISG)을 자세히 분석한다. 더불어, 국제 정형계약 조건, 국제운송, 국제대금결제, 분쟁해결 등을 살펴보고 각 분야의 판례와 분쟁사례를 통해 전반적인 이해를 높인다. |
||
H11650 |
3 |
환경문제와 국제법 사례연구 (Case Study of Environmental Issues and International Law) |
국제사회가 대응하여 온 기후변화와 생물다양성협약을 비롯한 국제환경문제를 국제환경법의 원칙, 준수,이행문제, 인권 과의 연계 문제 등 실제사례를 통해 살펴본다. |
||
H11651 |
3 |
글로벌사회 정의론 심층연구 (Advanced Study of Justice in Global Society) |
글로벌 사회의 다양한 이슈를 윤리, 법, 정치철학적 정의의 입장에서 구체적 사례를 들어 분석한다. 국가권력과 개인의 자유, 평등, 공공정책, 기업과 경제 등을 주요 이슈로 한다. |
||
H11572 |
3 |
국제금융세미나 (Seminar on International Finance) |
기업의 경제활동이 국내시장에서 국제시장으로 확대됨에 따라 국제금융시장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구하고 다국적기업의 재무관리 및 투자이론에 대해 학습한다. 또한 다양한 금융시장의 종류 및 운용원리에 대해 알아보고, 금융제도의 변천과 금융기관의 역할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
||
H11652 |
3 |
외교정책론 심층연구 (Advanced Study of Diplomatic Study) |
외교정책에 관한 다양한 이론적 배경을 우선 학습한다. 국제정치와 외교정책의 관계, 외교정책의 결정요인, 그리고 외교정책 결정과정을 심도깊게 연구하고, 외교정책과 관련한 주요 영역 (안보, 경제, 문화, 국제기구, 국내정치 등)을 논의한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한국과 주요국(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 EU)의 외교정책을 살펴봄으로써 외교정책의 이론과 실제를 심층적으로 토의한다. |
||
H11653 |
3 |
국제관계의 이해 세미나 (Seminar on Understanding International Relations) |
국가와 국가사이에서의 정치, 군사, 경제, 사회적 상호작용 및 분쟁 그리고 평화와 전쟁등을 이해하기 위한 고급 개념과 시각을 연구하며, 동시에 고차원적 국제관계 분석을 위한 이론적 프레임을 수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국제관계의 다양한 이론들을 검토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
||
H11654 |
3 |
연구조사방법론 세미나 (Seminar on Research Method) |
사회과학을 전공하는 연구자들에게 실질적인 양적 연구 수단을 익히는데 목적이 있다. 사회통계학의 방법론을 주로 학습하며 여기에는 추론과 가설검증이 주된 내용이 된다. 추론은 표본을 이용하여 모집단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고, 가설검증은 이러한 추론이 얼마나 표본의 결과가 모집단과 어떠한 차이점을 보이고 있는지를 통계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이것을 기초로 기초적인 분산분석(ANOVA), 단순회귀분석 등에 응용한다. |
||
H11655 |
3 |
현대국가론 사례연구 (Case Study of Modern Theory of State) |
현대 국가의 성격과 기능 및 형성과정을 알아보고 , 20세기 이후의 다양한 국가모델에 대한 비교를 수행한다. 아울러 해방 이후 한국 국가의 성격 변모를 국가론 관점에서 살펴보고 향후 한국의 국가모델 전환의 조건과 요건에 대해 살펴본다 |
||
H11656 |
3 |
전쟁과 국제정치 세미나 (Seminar on War and International Politics) |
‘평화는 전쟁이 없는 상태인가’ 혹은 ‘전쟁과 평화는 항상 공존하고 있는가?’ 우리는 전쟁과 평화를 서로 상반되는 현상으로 이해하고 있지만, 전쟁의 원인을 이해하지 못하면 평화라는 결과를 얻을 수 없다는 것도 알아야 한다. 이에 중세에서 근대, 전통사회에서 산업사회, 그리고 근대에서 탈근대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전쟁’의 역할에 대해 조명한다.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영화라는 매체를 사용할 것이며, 전쟁의 거시적 분석뿐만 아니라 전략 수준의 미시적 분석도 추가할 것이다. |
||
H11657 |
3 |
아시아 정치경제의 이해 세미나 (Seminar on Understanding Political Economy in Asia) |
제통합의 시각에서, 동남아시아에 진출하고 있는 한국, 중국, 일본의 자본과 문화산업을 연구한다. 동남아시아에 가장 먼저 진출한 일본의 전략은 무엇이며, 이들은 어떠한 분야의 정치경제 협력을 추구하는가? 한편, 비교적 최근에 동남아시아로 진출을 시작한 한국과 중국은 어떠한 전략을 구사하고 있으며, 일본과 비교하여 장단점은 무엇인가? 이러한 질문을 중심으로, 학생들이 사례연구를 발표하는 방식을 통해 진행할 것이다. |
||
H11658 |
3 |
국제분쟁의 해결 세미나 (Seminar on International Dispute Resolution) |
국가간의 분쟁에 사용되는 국제법적, 정치적 해결방법들을 사례를통해 학습한다. 교섭, 중개, 사실조사,조정, 중재 등의 기제를 살펴보고 국제법원, 해양법재판소 및 국제연합등 국제기구들의 분쟁해결을 최근사례를 통해 살펴본다. |
||
H11659 |
3 |
실증분석방법론 (Empirical Research Methodology) |
연구조사방법론을 학습한 학생들이 실제 필드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학습한다. 특히 과학철학 및 과학적 실증분석방법, 과학적 조사, 과학적 인과관계, 설문지작성방법, 가설설정방법, 실증분석에서 설문지의 형태(척도형태), 설문의 타당성, 신뢰성, 자료수집방법, 표본축출방법, 실험계획법 등을 학습한다. 이것을 기초로 다변량 분석방법, 즉 고급회귀분석, 고급 ANOVA(NONVA), 요인분석, 판별분석, 정준상관분석, 비모수 통계 등을 학습하여 학생들이 실증적 방법론을 사용하여 연구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한다. |
||
H11660 |
3 |
글로벌 리더쉽 세미나 (Semanar on Global Leadership) |
최근 중국과 아시아는 급속한 성장을 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더 많은 유능한 글로벌 리더가 필요하다. 본 수업은 향후 조직의 성장과 현지화를 담당하고, 동시에 글로벌 비즈니스와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지도자를 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